[뉴스엔뷰] 31일 개성공단 입주기업들은 정부가 지난 27일 발표한 입주기업 종합지원대책에 대해 수용하지 않기로 했다.
개성공단기업 비상대책위원회는 이날 오전 서울 여의도 중소기업중앙회에서 비상대책 총회를 열고 정부가 발표한 종합지원대책을 거부하기로 최종 결정했다.
앞서 정부는 개성공단 입주기업의 피해규모를 총 7779억원으로 확정, 발표했다.

정부 발표에 따르면 개성공단 입주기업들의 투자 자산은 5088억원, 유동자산 1917억원, 개성공단 미수금 등 774억원 등이다.
남북 경협보험 가입업체에게는 투자자산 피해금액의 90%까지 보험금을 지급하고 미가입 업체의 경우 45% 수준까지 지원할 계획이다.
이에 대해 개성공단 입주기업들은 정부가 산정한 피해규모, 지원 대책 등이 입주기업의 생각과는 차이가 있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
정기섭 개성공단기업 비상대책위원회 대표 공동위원장은 "어떤 지원은 22.5%고 어떤 지원은 45%, 상한선은 또 얼마 등 왜 이런 지원 대책이 나올 수 있는가"라며 "더 이상 정부에게 기대할 것이 없다고 생각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정 위원장은 "기업은 정부를 믿고 개성공단으로 향했던 만큼 불가피한 피해를 입었다면 전적으로 정부가 책임줘야 한다는 입장"이라고 비판했다.
이어 "경협 보험금에 의한 지원은 개성공단이 다시 가동되는 날 빌렸던 금액을 갚아야 한다"며 "유동자산에 대한 지원대책도 마찬가지다. 실물을 되찾게 되면 반환해야 하는 조항이 적용된다. 정부는 무상지원에 가깝다고 하지만 나중에 다 갚아야 하는 무이자 대출"이라고 꼬집었다.
그는 "정부는 정부가 만든 양식에 맞춰 피해 신고를 하도록 했다"며 "기업들의 실질적 피해를 계량하는 것이 아니라 정부가 만든 양식에 따라 이뤄졌다. 그렇기 때문에 실제 피해 신고금액과의 괴리가 생겼다"고 주장했다.
또 정 위원장은 "개성공단이 향후 안정적인 운영을 할 수 있으려면 정당한 보상이 필요하다"라며 "정부가 개성공단을 폐쇄할 때 얼마나 손실이 클지 알아야 한다. 개성공단 입주기업의 권리는 우리가 찾아야 한다"고 덧붙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