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엔뷰 동양경제] 농협중앙회가 사업구조 개편을 위한 정부의 현물출자를 금융지주로 받기로 했다. 그러나 현물출자 주식을 무엇으로 할 것인지는 확정하지 않아 그간의 논란이 완전 해소되지는 못했다.

다만 출자 규모를 2조원에서 1조원을 줄이고 농금채 발행을 3조원에서 4조원으로 확대키로 했다.

 

농협은 20일 이사회를 열고 정부가 출자하는 현물을 당초 2조원에서 1조원으로 줄이고 농금채 발행을 3조원에서 4조원으로 확대키로 결정했다.

 

현물출자 1조원은 정부 주장을 수용해 새로 출범하는 금융지주가 받되 정부에 의결권이 없는 우선주를 지급키로 했다. 신경분리(신용사업과 경제사업 분리) 원칙에 맞게 정부가 금융지주 지분을 일부 보유해야 한다는 정부 측 주장과 협동조합 원칙에 맞게 조합원들이 100% 의결권을 가져야 한다는 농협 측 주장의 절충안이다.

 

논란이 됐던 현물출자 주식은 향후 농협과 정책금융공사가 협의해 결정키로 했다. 정부 관계자는 "출자주식에 대한 원칙은 정부 소유 주식이 아닌 정책금융공사 주식으로 한다는 것"이며 "구체적인 출자 주식은 아직 결정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정부는 내부적으로는 도로공사 주식을 출자할 방침인 것으로 전해졌다.

 

현물출자를 1조원으로 줄이는 대신 농금채 발행을 4조원으로 1조원 늘리기로 한 만큼 정부가 지원하는 농금채 발행 이자는 늘어날 수밖에 없을 전망이다.

 

당초 농협이 농금채 3조원을 발행하고 정부가 그 이자를 연간 1500억원 한도에서 지원키로 한 바 있다. 정부는 올해 예산에 농협 이자 지원액 1500억원을 반영했기 때문에 부족분을 다른 예산으로 메워야 할 상황이다.

 

정부 관계자는 "농금채 발행 규모가 1조원 늘어난 만큼 정부가 지원하는 이자도 늘어날 수밖에 없다"며 "하지만 당초 계산한 금리(연 5%) 이하로 발행될 것으로 보여 추가 지원 규모는 크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농협은 이밖에 자체 자본금 확충 방안으로 농금채 발행, 상호금융 차입, 회원조합 출자 등을 통해 6조4000억원 이상을 확보키로 했다.

 

한편 농협은 이날 이사회에서 전무이사 후보에 윤종일 농촌사랑지도자연수원장을, 농업경제 대표와 상호금융 대표에 김수공 전 상무, 최종현 상무를, 조합감사위원장에는 이부근 상호금융총본부장을 각각 내정했다.

 

농협은 오는 21일 대의원 총회를 통해 자본금 확충 방안, 각 사업부문 대표 등을 확정하게 된다.
저작권자 © 뉴스엔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