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엔뷰 동양경제] 이 대통령은 15일 취임 후 처음으로 중견기업 대표들을 청와대로 초청, 오찬 간담회를 갖고 "(중견기업들을 위해) 금융(지원문제)도 얘기하고 인력 지원도 얘기할 수 있는 기구가 있어야 하지 않겠나, 검토해 보는 게 좋겠다"며 "그래야 맞춤형 지원에 맞지않겠나 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중견기업이란 중소기업기본법상 중소기업이 아니면서 상호출자제한집단에도 속하지 않는 기업을 말하며 현 정부 출범이후 처음으로 법제화됐다.
이자리에서 이 대통령은 "중견기업은 규모가 크고 전문성이 있기 때문에 (지원대책도) 맞춤형이 돼야 한다"며 "중소기업은 종합적으로 어디 가서 얘기할 곳이 많다. 금융위원회도 가고 중소기업청도 가고 하는데 중견기업이 되면 갈 데가 없다"고 우려를 표했다.
또한 “기업하는 분들에게는 시장을 개척하고 기업을 키워 세금을 내고 사람을 쓰고 하는 노력이 진정한 애국이고 나라사랑이다. 오늘 이 시대에 나라를 사랑하는 마음은 바로 그런 것이기 때문에 나라를 사랑하는 중심에는 기업이 서 있다고 생각한다”고 말한 뒤 "여러분들이 애국자라고 생각한다"며 "기술개발을 해 시장을 뚫고 사람을 쓰고 이런 게 애국이다. 말로 하는 애국은 누구나 할 수 있다"고 치하했다.
홍석우 지식경제부 장관은 간담회에서 "하나하나의 대책도 중요하지만 중견기업의 개념에 대해 잘 모르는 국민들이 많다"고 지적한 뒤 "앞으로 중견기업의 개념을 전 국민이 인식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박재완 기획재정부 장관은 "중소기업에 대한 지원이 너무 과도해 (중소기업에서) 졸업한 후 춥게 느끼는 측면도 있을 것"이라며 "중소기업에 대한 과도한 지원을 줄여 중견기업이 춥게 느끼지 않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이채필 고용노동부 장관도 "중소기업에서의 이탈에 따른 (중견기업) 지원이 급격히 줄지않도록 정책을 짜가면서 더 고려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김동수 공정거래위원장은 "공정위도 중견기업 육성이 필요하다고 보고 있다"며 "하도급상 보완장치를 마련하자는 지적에 동의한다. 대기업의 우월적 지위로 압력을 받고 어려움이 있는지를 살펴보겠다"고 밝혔다.
김석동 금융위원장은 "정책금융기관은 중견기업에 대한 지원을 상당히 중요한 과제로 인식하고 노력하고 있다"며 "이달 말 정책금융공사에 중견기업 특화 사이트를 만들어 애로점과 협조받을 점 등을 안내하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이날 행사는 고용ㆍ수출에서 우리 산업의 허리 역할을 담당하는 중견기업들을 격려하고 이들 기업의 육성 성과와 향후 정책방향을 점검하기 위해 마련됐다는 게 청와대 측 설명. 중견기업 대표 81명과 기획재정부ㆍ지식경제부ㆍ고용노동부 등 관계부처 장관 및 지원기관장이 참석했다. 청와대에선 하금열 대통령실장, 김대기 경제수석, 김상협 녹색성장기획관 등이 참석했다.
홍 장관은 보고를 통해 현 정부 출범이후 정부 차원의 중견기업 지원을 통해 2008∼2010년 총 380개의 중소기업이 중견기업으로 성장했고 2011년엔 사상 최대인 84개사가 벤처 천억기업(벤처기업으로 출발, 매출 1천억원을 달성한 기업)에 진입했다고 말했다.
또한 관계부처, 중견기업계, 관련 전문가 등으로 '중견기업 육성ㆍ지원위원회'(위원장:지경부 장관)를 구성, 올 상반기중 중견기업 3000개 시대 달성을 위한 종합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조효정 기자
nik3@abckr.ne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