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엔뷰] KT는 24일 강원 평창군 알펜시아 스키점프센터에서 재난안전통신망 시범사업 추진 방향 기자설명회를 열고 '백팩(배낭) LTE', '드론 LTE' 등 재난·재해 대비 통신서비스를 선보였다.

KT는 지난 20일 조달청과 '2015년 재난안전통신망 구축 제1사업' 계약을 맺고 2018 동계올림픽 개최지인 평창 지역을 중심으로 공공안전LTE(Public Safety-LTE) 기반 시범사업을 진행할 예정이다.

KT가 진행하는 제1사업은 재난망 상세 시스템 설계를 시작으로 상호운용성과 보안성 검증 시스템 개발, 운용센터 구축, 기지국과 단말기 납품 설치, 종합 테스트 등으로 구성됐다.

KT는 광케이블, 마이크로웨이브, 위성을 연계한 'Triple GiGA Network'로 네트워크의 생존성을 극대화할 방침이다.

▲ KT는 24일 강원 평창군 알펜시아 스키점프센터에서 재난안전통신망 시범사업 추진방향을 발표했다. 사진은 KT 직원들이 ‘백팩 LTE’, ‘드론 LTE’, ’위성 LTE’ 등 재난안전 상황에 특화된 통신 솔루션들을 소개하고 있다. /사진 = KT

KT는 이날 재난·재해 발생 시 통신을 신속히 지원할 수 있도록 개발한 드론 LTE, 백팩 LTE, 위성 LTE 등 통신 솔루션을 시연했다.

드론 LTE는 신개념 이동기지국 솔루션으로 세계 최초 초경량∙초소형 비행기지국이다.

드론 LTE는 재난재해 상황에서 사람과 차량의 접근이 어려운 위험 지역이나 고립된 지역에 신속한 통신 서비스를 제공, 골든타임 확보에 이바지할 것으로 보인다.

배터리 소모가 빠른 드론의 단점(비행시간 20분)을 드론스테이션으로 보완, 장시간 통신 서비스도 가능하다. 드론스테이션은 방전된 드론을 차례대로 착륙시켜 급속 충전한 후 다시 이륙시키는 일종의 정거장이다.

KT는 지난 10월 국토교통부 주관 드론 시범사업자로 선정돼 드론 시스템을 개발 중이다. 최대 비행시간 40분, 운영반경 20㎞, 탑재 중량 5㎏의 드론을 2018년 상용화할 계획이다.

KT는 드론 LTE 외에도 산악과 해상지역에서 재난재해 발생에 대비한 백팩 LTE와 위성 LTE 솔루션도 선보였다.

백팩 LTE는 기존 LTE 기지국을 배낭 형태로 축소, 무게가 9㎏에 불과한 이동형 기지국으로 지난 7월 개발 착수 후 첫 번째 상용모델이다. 기지국 신호가 약한 산악 지역이나 이동기지국 차량이 접근하지 못하는 상황에서도 인력이 장비를 메고 출동해 통신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위성 LTE는 위성을 전송망으로 이용해 도서지역 긴급통신, 광케이블과 마이크로웨이브 전송망 구축이 어려운 해상지역 통신 등에 활용 가능한 통신 솔루션이다.

현재는 해안가 반경 10~20㎞만 통신 서비스가 가능하다. 무궁화 위성 5호를 활용한 위성 LTE 활용시 한반도 전체와 일본, 동남아, 중국 동부까지 커버리지가 확대된다.

KT는 비상상황을 대비해 독도와 백령도, 남극 장보고 과학기지와 세종 과학기지에 위성 LTE를 이미 구축해 서비스하고 있다. KT는 이날 백령도와 영상통화 시연을 했다.

KT는 이번 시범사업을 통해 PS LTE 모델을 검증, 해외 진출도 도모한다는 계획이다. 2016년 3월로 예정된 PS LTE 국제 표준 선정에 따른 보완도 준비하고 있다.

 

저작권자 © 뉴스엔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