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엔뷰] 삼성전자는 자사가 제안한 기술이 미국 차세대 지상파 방송규격 ATSC 3.0의 잠정 표준(Candidate Standard)으로 채택됐다고 29일 밝혔다.

ATSC(Advanced Television System Committee)는 이달 초부터 전 회원사를 대상으로 전자투표를 실시해 삼성전자가 주도한 기술의 차세대 지상파 방송 규격인 ATSC 3.0의 잠정 표준 채택을 공식 승인했다.

이번에 채택된 잠정 표준은 내년 최종 표준 규격으로 제정될 예정이다.

   
▲ 사진=뉴시스

ATSC 3.0은 미국 차세대 지상파 방송 규격으로 전송 효율이 높아 한 개 주파수에 다양한 채널의 방송이 가능할 뿐 아니라 UHD 방송을 지원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번에 채택된 기술은 ATSC 3.0의 물리계층에 대한 표준으로 '차세대 오류 정정 기술(LDPC)', '비균일 성상도 방식 변조 기술(NUC)' 등이 포함됐다.

'차세대 오류 정정 기술(LDPC)'는 영상을 전송할 때 손실된 데이터를 효과적으로 복원하는 기술이다. 복원에 필요한 코드를 줄여 초고화질 영상을 효율적으로 전송할 수 있게 해 준다.

'비균일 성상도 방식 변조 기술(NUC)'은 고화질 영상을 수신 환경에 맞게 최적화해 주파수를 변조하는 방식이다. 차세대 초고화질 방송을 위해 영상 전송 효율을 개선하는 데 반드시 필요한 기술이다.

지난 5월에도 삼성전자가 미국 주요 방송사업자 싱클레어그룹(SBG)의 자회사 원미디어와 공동으로 제안한 부트스트랩 기술이 ATSC 3.0 방송 규격의 물리계층 첫 잠정표준으로 채택된 바 있다.

김창용 삼성전자 DMC연구소장 부사장은 "앞으로도 미국, 국내 방송사들과 협력해 차세대 초고화질 UHD 방송에 필요한 기반 기술 개발을 주도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뉴스엔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