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엔뷰] 질병관리본부가 메르스 등 신종감염병이 국내에서 발생하면 초기 방역 단계부터 총지휘한다.
이에 따라 방역당국은 감염병 전담기관으로서의 역할을 다하기 위해 자율성과 전문성을 강화한다.
현재 실장급인 질병관리본부장이 차관급으로 지위와 권한이 격상된다.

질병관리본부는 국가 방역을 책임지고 독립적으로 권한을 행사할 수 있도록 자율성과 전문성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조직 개편한다.
모든 위기단계에서 방역은 처음부터 끝까지 책임지도록 하며 총리실과 보건복지부, 국민안전처는 병상 확보와 의료인력 동원 등 지원역할을 수행한다.
역학조사관은 대부분 공중보건의사로 구성돼 전문성과 연속성이 부족하다는 지적에 대해 정규직을 확충하는 방향으로 개선한다.

방역행정가로서의 우수인력을 확보하고 장기근무를 유도하기 위해 특수 직렬인 '방역직'을 신설해 미국 CDC 역학전문요원(EIS)과정 위탁교육 등 다양한 경력형성을 지원한다.
감염병의 유입을 차단하기 위한 초기 대응체계도 구축한다.
질병관리본부 내에 감염병을 24시간 감시하는 '긴급상황실(EOC)'을 운영한다. 이 센터는 감염병에 대한 정보 수집·감시, 신고·접수, 즉시 지휘통제 기능 등을 수행한다.
이와 관련 국내 유입의 최전선인 출입국의 검역도 강화한다.
질병관리본부 안에 국제협력 전담부서를 신설하고 출입국 검역 강화를 통해 신종 감염병의 국내 유입을 사전에 차단하는 국제 공조 시스템도 구축한다.
정부는 1일 오후 4시 황교안 국무총리 주재로 국가정책조정회의를 열어 이 같은 내용의 '국가방역체계 개편방안'을 확정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