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엔뷰] 정부가 우리은행 민영화를 위해 과점주주 매각 방식을 기존 경영권 지분 매각방식과 병행하기로 했다.

공적자금관리위원회(공자위)는 21일 회의를 열고 이같은 내용의 '우리은행 민영화 추진방향'을 심의·의결했다고 21일 밝혔다.

   
▲ 사진=뉴시스

박상용 공정자금관리위원장은 "그간 수요조사를 점검한 결과, 경영권 지분 매각은 쉽지 않다는 것이 확인됐다"며 "과점주주가 되려고 하는 수요가 일부 존재하는 점을 고려해 과점주주 매각 방식을 공론화한다"고 밝혔다.

정부 매각 우리은행 지분은 예금보험공사가 보유 중인 51.04% 중 콜옵션 행사 대비분 2.97%를 제외한 총 48.07%다. 이 중 30~40%를 과점주주 1인당 4~10%씩 나눠 매각하고 수요에 따라 경영권 지분 매각도 동시 추진할 예정이다.

과점주주 매각 방식은 과점 주주에게 지분을 쪼개서 매각하고 경영에 참여하도록 하는 방식으로, 높은 가격을 제시한 투자자 순으로 희망 물량을 배분한다.

정부는 지분 30% 가량이 매각되면 사실상 매각 종료로 판단, MOU 전면 해지도 검토하기로 했다.

박 위원장은 "시장에서 우리은행이 현재 공적 통제를 받기 때문에 경영자율성에 제약이 있고 주가를 올리는 데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 있다"라며 "앞으로 예금보험공사의 경영정상화 이행약정 (MOU) 관리방식을 대폭 완화하거나 해지까지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다만 공자위는 현재 시장 수요만으로는 당장 매각을 추진하지는 못하고 투자 수요를 키운 뒤 민영화를 본격 추진하겠다는 방침이다.

박 위원장은 "과점 주주 매각과 기업가치 제고를 동시에 추진하면서 연내 민영화를 반드시 추진할 계획"이라며 "정부는 분명한 의지를 가지고 우리은행 매각을 추진 중이며, 우리은행 경영에 관여하지 않겠다는 확고한 의지를 갖고 있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뉴스엔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