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엔뷰] 미 국무부는 21일 북한에 억류된 미국인 제프리 파울(56)이 6개월 만에 석방됐다고 전했다.

마리 하프 국무부 부대변인은 파울이 석방됐다면서 계속해서 구금돼 있는 매튜 토드 밀러(24)와 한국계 케네스 배(한국명 배준호·46)의 석방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밝혔다.

하프 부대변인은 “우리는 북한의 파울 석방 결정을 환영한다”고 말했다.

북한을 떠난 파울은 괌에 도착했으며, 의료진의 검진 결과 건강은 양호한 상태다.

AP통신은 자사 평양 주재원들이 파울이 탑승한 미국 정부의 항공기가 평양 국제공항에서 이륙하는 것을 목격했다고 전했다.

▲ 북한에 억류된 미국인 제프리 파울(56)/사진=뉴시스

조시 어니스트 백악관 대변인은 북한의 파울 석방 결정은 긍정적이라며 다른 미국인 2명도 석방하라고 촉구했다.

어니스트 대변인은 "미국은 계속해서 이들의 석방을 위해 적극 나설 것"이라고 말했다.

어니스트 대변인은 국방부가 북한이 정한 시간에 맞춰 파울의 수송을 맡았다며 그의 신속한 석방을 위해 스웨덴 정부가 지원했다고 밝혔다.

이와 관련해 하프 부대변인은 "평양 주재 스웨덴 대사관의 부단한 노력을 해줬다"며 고마움을 전했다.

하프 부대변인은 이밖의 스웨덴 정부의 개입에 대해 밝히지 않았다.

파울은 지난 4월29일 북한에 입국했으며 북부 항구 도시 청진에 있는 나이트클럽에 성경을 놔둔 혐의를 받고 재판을 앞두고 있었다.

밀러는 4월10일 북한에 입국했으며 북한에 도착 직후 공항에서 북한으로 망명을 원한다고 말한 것으로 알려졌다.

북한은 이들 외에도 지난 2012년부터 적대행위 혐의로 한국계 미국인 케네스 배를 억류하고 있다. 그는 15년의 노동교화형을 선고받고 복역 중이다.

한편, 미국 정부는 이날 석방 사실을 설명하면서 '북한'에 대한 호칭으로 통상 사용했던 '노스 코리아'(North Korea)라는 단어 대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DPRK)이라는 용어를 썼다.

 

 

저작권자 © 뉴스엔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