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엔뷰] 약 15년후인 2026년이면 우리나라가 초고령사회로 진입할 것이 예상된다.
통계청이 29일 발표한 '2011 고령자통계'자료에 따르면 2010년 65세 이상 고령인구 비율이 전체 인구의 11%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비율은 지속적으로 증가해 오는 2018년에는 14.3%, 2026년에는 20.8%에 도달해 초고령사회 진입이 머지않은 것으로 분석됐다.
또한 지난해 65세 이상 인구 비율이 가장 높은 시도는 전남(20.4%), 시군구는 경북 군위군(39.4%)으로 조사됐다. 또 65세 이상 인구 비율이 20%를 넘은 시군구는 230곳 가운데 35.7%인 82곳으로 나타났다.
초고령사회란 전체인구중 65세 이상 노인인구가 차지하는 비율이 20%를 넘은 사회로 인구 10명 가운데 노인이 2명 이상이다.
우리나라의 초고령사회 진입속도는 14%(2018년)에서 20%(2026년)으로 8년이다.
이는 이미 2006년에 20%를 넘어선 일본(12년), 이탈리아(18년), 독일(37년)보다 훨씬 빠르며, 1979년 14%에서 2018년 20%를 넘어서는 프랑스(39년)보다는 5배 빠른 속도다.
또한 65세 이상 고령자가 가구주인 '고령가구'의 비중도 지난 2000년 11.9%에서 2005년 15.2%, 지난해에는 17.4%로 점점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이처럼 고령자 인구가 늘어나면서 지난해에는 생산가능인구(15~64세) 6.6명이 노인 1명을 부양했지만, 2020년에는 5명이 1명을, 2030년에는 3명이 1명을 부양해야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와 함께 지난해 65세 이상 고령자에게 지급된 의료비는 13조7847억원으로 전체 의료비의 31.6%를 차지했다.
경제활동과 관련, 65세 이상 고령자의 경제활동 참가율은 29.4%로 2009년 30.1%에 비해 다소 낮아졌으나,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에서는 아이슬란드(36.2%)에 이어 두 번째로 높았다.
올해 55~79세 인구의 58.5%가 취업하기를 원했고, 이중 54.9%는 취업을 원하는 이유로 '생활비에 보탬이 되어서'라고 응답했다. 일자리 선택 기준으로는 임금수준(27.2%)과 계속 근로가능성(22.4%)을 꼽았다.
2009년 기준 65세 이상의 고령자 가운데 39%는 '노후준비가 되어 있다'고 했으나, 61%는 '노후 준비가 되어 있지 않다'고 답했다.
이들 가운데 절반인 51.9%가 생활비를 직접 마련하고 있었으며, 나머지는 자녀 등으로부터 도움을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부양에 대해 고령자의 38.3%는 '가족이 돌보아야 한다'고, 37.8%는 '가족과 정부ㆍ사회가 공동으로', 18.4%는 '부모 스스로 해결해야 한다'고 응답했다.
한편, 기대수명은 2009년 기준으로 65세 남자는 17.0년, 여자는 21.5년을 더 살 것으로 추정됐다.
강영준 기자
nik2@abckr.ne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