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엔뷰] 지난해 말부터 일부지역에서만 시범운영 되어 왔던 전국호환 교통카드가 전국 대부분 지역의 대중교통·철도·고속도로에서도 이용가능해질 예정이다.

국토교통부·서울시·인천시·경기도·한국도로공사·코레일은 16일 수도권 버스·지하철과 철도, 고속도로에서 오는 21일부터 전국호환 교통카드 서비스를 시행한다고 전했다.

▲ ⓒ뉴시스

21일부터 전국 소매점에서 티머니·캐시비 등 전국호환 교통카드 판매가 시작되며, 레일플러스(코레일)는 시범운영을 거쳐 오는 9월 중 판매에 들어갈 계획이다.

광주 한페이카드도 하반기 중 전국호환이 추진되며, 대구 탑패스 카드 등도 시스템 보완 및 사업자간 정산협의가 마무리되는 대로 개통할 예정이다.

현재 경기, 전북 등 일부 노선에서 시범운영 중인 시외버스도 올 하반기부터 개통노선을 지속 확산하고, 고속버스 또한 연말까지 시범운영을 거쳐 전국호환 교통카드 서비스를 시행한다.

전국호환 교통카드는 충전해서 사용하는 선불형으로 기존 교통카드의 대중교통 환승할인, 택시 등에서의 기능은 그대로 유지되며, 전국호환과 철도·고속도로, 시외·고속버스 등의 기능이 추가되고 하이패스 기능여부, 소지자에 따라 다양한 유형으로 발행된다.

기존 선불교통카드는 전국호환 카드 서비스 시행 후에도 기존 사용처에서 계속해 사용할 수 있고, 올해 말부터 2017년 말까지 3년 동안 한시적으로 철도와 고속도로에서도 추가로 사용이 가능해질 예정이다.

앞서 국토부는 교통카드가 지역마다 달라 타 지역에서 이용할 수 없는 불편함이 있어, 이를 개선하기 위해, 지난 2007년부터 전국호환 표준기술 개발, 기본계획 수립, 장비설치 지원 등 교통카드 전국호환 정책을 추진해 왔다. 지난해에도 17개 시도 및 운송기관 등과 릴레이 협약을 체결해 전국호환 참여 지역을 늘려왔다.

국토부 관계자는 "이번 수도권 서비스 개통은 국토부와 지자체, 운송기관 등이 5년동안 추진해온 교통카드 전국호환 정책이 결실을 맺은 것"이라며 "장기적으로 전국호환으로 인해 부각되는 교통분야 빅데이터의 효율적 활용을 통해 맞춤형 교통서비스를 개발하고, 국민생활에 유익한 다양한 정보를 개방·공유해 나갈 계획"이라고 전했다.

저작권자 © 뉴스엔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