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엔뷰] 여야가 이번주 국회 대정부질문과 문창극 국무총리 내정자의 인사청문회 등을 놓고 주도권 쟁탈전을 벌이고 있다.

국회 대정부질문이 오는 18일부터 사흘간 열린다. 여야는 정국 주도권을 잡을 기회라면서 계획을 짜고 있다. 무엇보다 청와대의 내각 개편, 7월 재보선 등이 있기 때문에 여야 모두 사활을 걸고 있다.

▲ ⓒ뉴시스
여야는 세월호 국정조사, 문창극 총리 후보자 등을 놓고 민감한 대결을 펼칠 가능성이 높다.

새누리당은 새누리당 참사를 계기로 재발 방지 및 경제활성화를 촉구할 가능성이 높다. 아울러 야당에게 협조를 요구할 가능성이 보인다.

반면 새정치민주연합은 세월호 참사의 원인 특히 구좌자가 1명도 없는 이유에 대해 물을 것으로 보이고, 문착극 총리 후보자의 파문을 계기로 대통령의 인사스타일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가 나올 것으로 예상된다.

한편 이번 대정부질문은 오는 18일 정치·외교·통일·안보, 19일 경제, 20일 교육·사회·문화에 관한 질문 등의 일정으로 이뤄진다.

또한 문창극 신임 국무총리 후보자에 대한 임명동의안과 청문회 요청서가 16일 국회에 제출된다. 현재까지 야당은 임명동의에 대해 반대하고 있는 입장이다. 다만 새누리당 내부에서도 문창극 불가론이 나오고 있기 때문에 본회의 통과가 쉽지 않아 보인디.

인사청문회 과정을 돌파한 후에 국회 본회의에서 인사청문회 보고서가 부결될 가능성이 높다.

인사청문회 보고서가 국회 본회의에서 통과되기 위해서는 재적의원 과반의 찬성이 필요하다. 현재 285명인 점을 볼 때 143명의 찬성이 필요하다. 새누리당이 148명인 점을 감안한다면 그야말로 숫자적으로 봐서는 무난히 통과할 가능성이 높다.

하지만 이미 새누리당 내부에서도 반란표가 나오고 있는 형국이다. 일부 초재선 의원들이 문창극 불가론을 주장하고 있다. 이재오 의원과 같은 중진에서도 문창극 불가론을 외치고 있다.

당 지도부에서야 문창극 옹호를 펼치고 있지만 7월 재보선이나 차기 총선을 앞두고 있는 지역구 국회의원들의 생각은 다르다. 특히 수도권 초재선의 경우에는 다르다. 만약 국회 본회의에서 통과될 경우 새누리당은 ‘친일 정당’으로 낙인찍힐 가능성이 높다.

이렇게 되면 수도권 초재선 의원들의 차기 총선 도전 자체가 무의미해질 수도 있다. 때문에 수도권 초재선 의원들은 인사청문회 국회 통과에 대해 신중해질 수밖에 없다.

이런 이유로 당 지도부는 집안 단속에 들어갔다. 하지만 인사청문회 보고서 채택 자체가 무기명 투표이기 때문에 집안 단속을 끝까지 잘할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즉, 국회 본회의 통과가 쉽지 않아 보인다.

저작권자 © 뉴스엔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