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통일전선부 '연락사무소 폐쇄' 밝힌 후 ‘불통’

[뉴스엔뷰] 북한이 8일 남한이 통화를 시도한 서울~평양 남북 연락사무소 직통 전화를 받지 않았다.

20189월 개소한 뒤 19개월 만의 일이다.

전국농민조합총연맹, 전농 강원도연맹 철원군농민회 등 참석자들이 지난 달 30일 강원 철원군 민통선 내 평화의 논에서 '2020 평화의 통일쌀 모내기'를 하고 있다.Ⓒ뉴시스
전국농민조합총연맹, 전농 강원도연맹 철원군농민회 등 참석자들이 지난 달 30일 강원 철원군 민통선 내 평화의 논에서 '2020 평화의 통일쌀 모내기'를 하고 있다.Ⓒ뉴시스

여상기 통일부 대변인은 8일 정례브리핑에서 "오늘 오전 연락사무소는 예정대로 북한과 통화 연결을 시도하였으나 현재 북측이 받지 않고 있다"고 밝혔다.

앞서 북한의 대남 기구인 통일전선부는 지난 5일 심야 담화를 내고 김여정 노동당 제1부부장의 지시로 연락사무소 폐쇄 문제를 검토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김 제1부부장은 지난 4일 담화를 통해 탈북민 단체의 대북전단 살포에 막지 않는 남측 정부를 비난하고 연락사무소 철폐, 개성공단 폐쇄, 남북 군사합의 파기 등 대응 조치를 할 수 있다고 말했다.

남북측은 지난 130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해 연락사무소 운영 잠정 중단에 합의하는 대신, 매일 오전·오후 연락사무소 간 통화로 소통창구로서의 기능을 유지해왔다.

통일부에 따르면 통전부 담화가 나오기 전인 지난 5일 오후 마감 통화는 정상적으로 이뤄졌으며 지금까지 북측이 전화를 받지 않은 적은 없었던 것으로 전해졌다.

연락사무소 기능 유지의 징표와 같았던 서울~평양 직통 전화마저 단절될 가능성이 높아지면서 연락사무소가 사실상 폐쇄 위기에 놓였다는 관측이다.

연락사무소는 2018년 남북 정상의 4·27 판문점 선언을 통해 합의되고 같은 해 914일 개소했다. 연락사무소는 차관급인 남북 연락사무소장이 주 1회 소장 회의를 개최하는 등 상시 소통창구로서 역할을 수행했다.

여 대변인은 북측의 통화 거부를 연락사무소 운영 중단으로 해석하는지와 관련, "오늘 오후에도 예정대로 통화를 시도할 예정이다. 정부는 상황을 지켜보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뉴스엔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