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엔뷰] 2차세계대전 당시 731부대의 생체실험 만행은 일본군 위안부와 더불어 일본의 사과를 받아야 할 뼈 아픈 역사이다.

더욱이 731부대에 가담했던 의사들이 생체실험 데이터를 이용해 의학박사 학위를 취득한 후 종전 후에도 반성 없이 일본 의학계에 승승장구를 한 사실이 있다.

▲ ⓒ뉴시스
731부대는 일본 육군이 1938년 18개의 사단급 방역급수부를 발족시켰다. 이후 생체실험을 진두했던 이시이 시로가 하얼빈에 731부대인 관동군 방역급수부를 두는 등 모두 5개의 고정 방역부대를 설치했다.

중국 전역에 산재했던 방역부대에 소속됐던 전체 인원은 만 명을 넘었던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이들 부대는 일본 병사들을 치료하고 질병을 예방하기 위해 설치됐다. 하지만 극비리에 세균에 의한 대량 살상과 생체실험을 자행했다.

포로로 잡힌 팔로군 병사와 우리 독립투사 등 모두 3천여 명이 생체실험으로 희생된 것으로 전해지고 알려졌다.

생체실험을 바탕으로 한 연구는 각종 세균 등의 기초 연구와 세균의 독성 강화, 대량 생산과 보존법, 세균의 매개체로서의 쥐나 벼룩에 관한 연구 등 다양하다.

그런데 이때 연구했던 논문이 일본 국회도서관에 극비 문서로 지금도 대량 보관되고 있다고 알려져있다.

또한 731부대의 연구보고가 일본 내 각 의과대학에 박사학위 논문으로 제출됐다. 전쟁이 끝난 후인 1960년대까지 731부대 가담자와 가담한 것으로 추정되는 이들에게 의학박사 학위가 수여됐다는 것.

교토대 의학부만 하더라도 15년 전쟁 기간 중 23명의 731부대 가담자에게 박사 학위를 수여한 사실이 확인됐다.

심지어 서울대 의대 전신인, 경성제국대학 의학부에서도 731부대의 말라리아 생체실험 결과를 토대로 731부대원에게 박사 학위를 수여한 사실이 드러났다.

당시 일본의 박사 학위 수여 제도는 문부성의 승인이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따라서 일본 정부가 731부대 관련 연구에 대해 극비리에 승인한 것 아니냐는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

물론 현재까지 일본 정부는 731부대에 대해 부인하고 있다. 1999년 노로 방위청 장관은 국회에서 “생체실험 부대의 구체적인 활동 상황에 대해 확인할 수 있는 자료는 존재하지 않는다”고 발뺌했다.

일본 정부는 731부대의 존재는 인정하지만 만행 자체는 종전 69년이 되는 지금도 은폐와 부인으로 일관하고 있는 것이다.

때문에 이제는 일본군 위안부에 이어 731부대의 만행에 대해서도 국제사회 공조를 통해 끊임없이 제기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저작권자 © 뉴스엔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