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엔뷰] KB국민은행이 연일 ‘휘청’거리고 있다. 일본 도쿄지점 불법대출에 해외 영업망 잇단 부실 그리고 직원의 수십억 원대 횡령까지 KB국민은행은 연일 언론의 도마 위에 오르내리고 있다.

 

과거 영광은 이제 뒤로 하고 KB국민은행은 금융당국의 특별감사까지 받게 되는 처지가 됐다. 사상 초유로 3가지 비리 의혹에 대해 강도 높은 내부통제 점검에 나서게 된 것이다. 우리나라 대표은행이라고 할 수 있는 KB국민은행의 체면이 말이 아니게 됐다.


▲     ©뉴스1


금융감독원이 KB국민은행에 손을 대게 됐다. 금감원이 국민주택채권 90억원 횡령사건 등 4가지 비리 의혹에 대해 특별감사를 벌이게 된 것이다. 금감원은 비리의혹이 계속 발생하는 KB국민은행에 대해 내부통제 시스템에 심각한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 이에 특감을 통해 문제가 발견되면 엄정한 조치를 취할 계획이다.

 

금감원이 특별감사를 하는 내용은 ▲도쿄지점 비자금 의혹 ▲보증부대출 가산금리 부과 실태 ▲국민주택채권 90억원 횡령 사건이다. 은행이 특감을 3개나 동시에 받는 것은 사상 초유의 일.

 

국민주택채권 90억원 횡령 사건은 여의도 본점 A차장이 국민주택채권을 시장에 내다 파는 방법으로 횡령한 일이다.

 

2009년부터 신탁기금본부에서 국민주택채권 업무를 담당했던 이 직원은 부동산 등기 때 의무적으로 매입해야 하는 국민주택채권이 만기 후 5년 내 원리금을 찾아가지 않으면 국고로 귀속된다는 점을 착안한 것이다.

 

A차장은 소멸이 임박한 채권을 컬러프린터로 위조한 후 친분이 있는 영업점 직원의 도움을 받아 현금화하는 수법을 썼다.

 

KB국민은행은 지난 20일 직원 제보 및 본부 차원의 조사를 통해 이 같은 사실을 적발하고 관련자들을 사기 등 혐의로 검찰에 고소했다.

 

또한 일본 도쿄지점 1700억원대 불법대출 관련 사건에 대해 금융당국과 검찰의 조사를 받고 있다.

 

전 도쿄지점장 이모씨가 2008년부터 5년 동안 수십 개 현지 법인에 대해 동일인 대출 한도를 넘겨 대출을 실시하고, 이를 통해 비자금을 조성한 혐의다.

 

여기에다 국민은행이 대주주로 있는 카자흐스탄 뱅크센터크레디트(BCC) 은행의 수천억원대 부실 의혹도 불거진 상태다.

 

아울러 KB국민은행은 보증부대출 부당이자 환급액과 베이징지점 인사 관련 사항을 금감원에 허위보고했다. KB국민은행은 보증부대출 부당이자 55억원을 환급한다고 금감원에 보고했지만 최근 10억여원으로 줄여 보고했다.

 

금감원은 이를 허위보고로 판단하고 있다. 문제는 KB국민은행은 부당이자를 돌려주라고 금감원의 지도를 받고도 제대로 이행하지 않았다. 국민은행 담당 직원이 명예퇴직하면서 인수인계가 전혀 되지 않은 것이다.

 

이런 사건들이 외부로 알려지면서 KB국민은행은 곧바로 “미연에 방지하지 못한 점을 송구스럽게 생각한다”는 사과문을 게재하면서 수습에 나서고 있다.

 

하지만 업게에서는 이미 자정능력이 떨어졌다고 판단하고 있으며, 윤리의식이 떨어진 직원들을 방치한 것이 대형사고로 이어졌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내부 통제시스템이 제대로 작동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무엇보다 해외 영업망 비리 의혹이 잇달아 터지면서 KB국민은행은 휘청거리고 있다.

 

이처럼 각종 비리와 의혹이 터지는 이유는 특혜성 인사 때문이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3년마다 경영진이 바뀌면서 인사 외풍이 심하다는 것이다. 특히 정권에 맞는 코드인사가 배치되면서 은행업무의 전문성이 떨어지는 인사들이 배치되고 있고, 이로 인한 부작용이 발생하고 있다는 것이다.

 

낙하산 인사 등 코드인사는 행장의 교체시기와 맞물리면서 각종 부작용이 외부로 표출될 수밖에 없다. 그 이유는 내부조직 장악력이 현저히 떨어지기 때문이다. 즉, 그동안 묵혀왔던 부작용이 행장 교체 시기에 봇물처럼 터진 것이다.

 

물론 KB국민은행 현 경영진은 ‘전 경영진’에서 발생한 사건이라고 선 긋기를 하고 있다. 하지만 현 경영진의 조직 장악력이 떨어지면서 사건이 발생했다는 책임론에서 벗어나기 힘든 것도 사실이다.

 

문제는 이런 문제가 비단 KB국민은행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금융권에 따르면 KB국민은행과 같은 문제가 다른 은행에도 고스란히 담겨져 있다고 지적했다.

 

다만 아직까지 표출이 되지 않았을 뿐이지 언제든지 시한폭탄을 안고 있다는 것이다. 때문에 시간이 지나면 언제든지 터질 수 있는 문제라고 지적하고 있다.

 

때문에 금융당국의 철저한 관리가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KB국민은행의 비리 횡령 사건도 금융당국의 철저한 관리가 있었다면 발생하지도 않았을 것이라는 지적이다.

 

즉, 단순하게 KB국민은행 하나만 특별감사를 한다고 해서 해결될 문제가 아니라는 것이다. 금융권 전반적인 점검과 함께 재발방지를 위한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다는 것.

 

그렇지 않고 단순히 KB국민은행만의 문제로 치부하게 된다면 결국 다른 은행에서도 비슷한 사례가 발생하게 될 것이라고 금융업계에서는 경고하고 있다.
저작권자 © 뉴스엔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