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전두환 VS. 한동훈·노태우
40년 전과 같은 ‘2인자의 반란’

[뉴스엔뷰] 지난 19876, 민주화 요구가 전국을 들불처럼 휩쓸었던 당시 민주정의당 대표인 노태우가 직선제 개헌을 포함한 6·29선언을 발표했다.

노태우 대표는 이 선언을 하면서 자신의 주장이 받아들여지지 않을 경우 당대표직과 대통령후보를 비롯한 모든 공직에서 사퇴하겠다고 강공 드라이브를 걸었다.

당 대표의 선언에 대해 민주정의당은 6·29선언을 당의 공식입장으로 채택하였으며, 당시 전두환 대통령도 71일 노 대표의 뜻을 받아들이겠다고 밝혔다.

그에 따라 전두환의 4·13 호헌조치는 철회되었으며, 직선제로의 개헌이 성사되었다. 새로 개정된 헌법에 따라 그 해 1216일 대통령 선거가 치러졌으며, 이 선거에서 민주정의당의 노태우 후보가 제13대 대통령으로 당선되었다.

6·29선언에 대해 국민들의 민주화 열망에 대한 집권세력의 항복이라는 의미를 갖는 선언이라 평가할 수는 있으나 또 다른 시나리오의 출발이라는 것도 부인하기 어려운 일이다.

이유는 당시의 6·29선언이 대통령 직선제를 포함한 8개항의 선언 중 간선제에서 직선제로 바뀐 것 외엔 지켜진 것이 없으며 군부세력의 정권연장 이외에는 기여한 것도 없다는 것이다.

또한 이 6·29선언이 당시 전두환 대통령 측의 시나리오이거나 묵인 하에서 이루어졌다는 주장이 있는 것도 선언의 진정성에 의혹이 일고 있는 것도 부인하기 어려운 일이다.

, ‘약속대련이었다는 세월의 표백제에 씻겨나간 주장이 힘을 받고 있는 형국이어서다.

40년을 바라보는 세월이 흐른 지금 또 다시 6·29와 전두환·노태우 등 전직 대통령들의 이름이 회자되는 이유는 무엇일까?

이는 현 윤석열 대통령과 한동훈 비상대책위원장의 표면적 대립이 과거의 그 일과 오버랩 되기 때문이다.

현 정권에 대한 민심의 이반과 선거를 앞 둔 상황에서 밀리면 끝장 날 수밖엔 없는 현실을 타개하려는 데자뷰의 실현이라는 것이다.

한 비대위원장의 퇴진을 주문한 대통령실의 오더에 한 비대위원장의 내 임기는 총선 후라는 강공 드라이브에서 과거의 그 이름들이 회자되고 있다.

또한 그 부딪힘을 크게 부각시키는 몇몇 언론으로 해서 일종의 시나리오임이 확실해지는 모양새다.

저작권자 © 뉴스엔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