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노동당 중앙위원회는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참석한 자리에서 정치국 회의를 열어, 한반도 주변 정세와 국제 문제들에 대한 분석 보고를 청취하고 대미 대응 방향을 토의했다.

[뉴스엔뷰] 북한이 미국 대응 방안의 일환으로 핵과 미사일 실험을 유예(모라토리엄)하던 조치를 해제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종주 통일부 대변인이 지난 17일 북한 발사체와 관련해 브리핑 하였다.사진/ 뉴시스 제공 
이종주 통일부 대변인이 지난 17일 북한 발사체와 관련해 브리핑 하였다.사진/ 뉴시스 제공 

조선중앙통신이 20일  따르면 북한 노동당 중앙위원회는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참석한 자리에서 정치국 회의를 열어, 한반도 주변 정세와 국제 문제들에 대한 분석 보고를 청취하고 대미 대응 방향을 토의했다.

통신은 "미국의 대조선 적대행위들을 확고히 제압할 수 있는 강력한 물리적 수단들을 지체 없이 강화 발전시키기 위해 국방정책과업들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우리가 선결적으로 취하였던 신뢰구축조치들을 전면 재고하고, 잠정 중지했던 모든 활동들을 재가동하는 문제를 신속히 검토할 것”이라고 보도했다.

북한은 앞서 2018년 4월 노동당 중앙위원회 전원회의에서 핵실험장을 폐기하고 핵실험 및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시험발사 중지라는 ‘모라토리엄’을 선언했는데, 기존에 밝힌 조치를 해제할 가능성을 시사한 것이다.

이에 따라 북한이 2018년 이후 중단했던 핵실험과 대륙간탄도미사일, ICBM 시험 발사를 재개할지 주목된다. 이르면 북한이 2월 16일 전후, 늦어도 4월 15일 전후로 실제 행동에 나설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정치국 회의에서 미국 대응 방향에 대해 토의하기에 앞서 4월 15일 김일성 출생 110주년과 2월 16일 김정일 출생 80주년 행사를 치르는 문제도 논의됐다.

이 두 행사를 자신들의 존재감을 과시하는 계기로 삼겠다고 언급한 만큼, 북한이 기념일을 전후로 무력도발을 감행할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분석된다.

올해 들어서만 4차례 미사일 시험 발사를 감행한 북한은 이번 회의에서 미국이 사정권에 들어오는 중장거리 미사일 발사 감행 가능성을 언급했다.

다만, 북한이 유예 조치를 전면 폐기하는 대신 ‘검토’라는 표현을 쓴 만큼, 북한 문제를 우선순위로 올려 미국을 압박하려는 메시지를 낸 것이라는 분석도 나온다.

저작권자 © 뉴스엔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