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피스베르겐(Spitsbergen)섬의 면적은 약 23,600㎢. 제주도 면적이 약 1,800㎢이니까, 제주도 면적의 13배 정도 된다고 보면 된다. 60%가 빙하로 덮여 있다.

[제232호 뉴스엔뷰] 가장 추웠던 섬 이야기를 할까 한다. 노르웨이 스발바르(Svalbard) 군도의 행정 중심지인 스피스베르겐(Spitsbergen)섬에 위치한 롱위에아르뷔엔(Longyearbyen) 이야기이다.

롱위에아르뷔엔은 스발바르 군도에서 제일 큰 마을이다. 노르웨이와 북극점 중간에 위치하는 롱위에아르뷔엔의 인구는 1,800명 정도이고 노르웨이인과 러시아인들이 살고 있다.

사실 롱위에아르뷔엔보다 북쪽에 위치한 마을 뉘올레순(Ny-Ålesund)이 있지만, 상주인구가 30여명 정도이고, 한국의 다산과학기지를 비롯하여 여러 나라가 연구 기지로 활용하고 있는 관계로 실제 행정도시는 롱위에아르뷔엔(Longyearbyen)이 되고 있다.

스피스베르겐(Spitsbergen)섬의 면적은 약 23,600㎢. 제주도 면적이 약 1,800㎢이니까, 제주도 면적의 13배 정도 된다고 보면 된다. 60%가 빙하로 덮여 있고, 방송이나 여러 매체를 통하여 전 세계 종자(seed)를 보관, 저장하는 스발바르 국제종자저장고가 있는 섬으로 잘 알려져 있다. 하계와 동계에 밤낮의 구분이 어려운 북극의 섬 마을이다.

주변 국가들에 의하여 포경이 성행하였던 스발바르 군도 주변 해역 포경 풍속도  /출처=스발바르 박물관. http://svalbardmuseum.no/no/. 사진=홍선기 
주변 국가들에 의하여 포경이 성행하였던 스발바르 군도 주변 해역 포경 풍속도  /출처=스발바르 박물관. http://svalbardmuseum.no/no/. 사진=홍선기 

스발바르 제도는 12세기경 스칸디나비아 사람들이 이주하여 살았고, 17~19세기에는 포경업의 중심지가 되었으나, 근대에 들면서 석탄이 대량 매장되었다는 것을 알게 된 열강들이 간섭을 하게 되었다.

광업 주변에 러시아, 노르웨이, 덴마크, 그린란드 등 국가들에 의하여 수 세기 동안 어업이나 광산 등 산업에 간섭 아닌 간섭을 받으면서 지내왔지만, 1920년에 체결된 스발바르 조약 (주: 1920년 2월 9일 서명한 노르웨이와 아메리카 합중국, 덴마크, 프랑스, 이탈리아, 일본, 네덜란드, 그레이트브리튼 아일랜드, 영국 해외 자치령 간의 스피츠베르겐 관련 조약. 노르웨이의 북극 스발바르(스피츠베르겐) 군도에 대한 자치권 행사를 인정하는 조약이다)에 의하여 자치권을 인정받았다.

북극곰 사냥을 하는 스칸디나비아인들의 풍속도 /출처=스발바르 박물관. http://svalbardmuseum.no/no/.사진=홍선기 
북극곰 사냥을 하는 스칸디나비아인들의 풍속도 /출처=스발바르 박물관. http://svalbardmuseum.no/no/.사진=홍선기 

그러나 이 조약이 있음에도 노르웨이 법률 전체가 적용되지 않는 비무장 지대로 정하고 있다. 또한 서명국이 스발바르 군도에서 석탄 채광을 할 권리를 행사하고 있다. 초기 서명국에 이어 러시아, 독일, 중국 등이 추가 서명하면서 현재 40개국이 조약에 등록되었다(한국은 2012년 가입). 인접하는 국가 그린란드의 광물을 비롯하여 북해 어업, 북극 항로 등의 주요 요충지인 스발바르 군도는 세계 각국의 중요한 거점으로 이용되고 있다.

지난 2013년 1월 필자는 덴마크 지인 Adam Grydehǿj박사의 초청으로 그가 운영하는 Island Dynamics포럼에 참가하게 되었다. 장소는 스발바르 군도의 마을 롱위에아르뷔엔 (Longyearbyen). 처음 가보는 노르웨이 섬이기도 하지만, 위도상 가장 북쪽에 위치하는 ‘섬 마을‘이라는 말에 유혹되어 발표, 토론 모두 수락하면서 긴 여행을 시작하였다.

오슬로에 도착, 하루를 묵은 후, 다음날 스발바르 공항으로 향하였다. 오슬로로 만만치 않게 추웠는데, 스발바르에 도착하니 살을 베어내는 칼바람이 환영해 준다. 일단 스노타이어를 장착한 특수 차량이 마중을 나와 호텔까지 가이드, 이후 가벼운 환영만찬을 끝으로 하루를 정리하였다.

문제는 다음날. 해가 안 뜬다. 솔직히 뜬 건지 안 뜬 건지 구분이 안되었다. 일단 알람에 맞춰서 일어나고, 컴컴한 아침부터 포럼 일정을 소화해야 했다. 점심식사 할 때 쯤 되었을까 뭔가 멀리 산자락 경계가 보이는 것 같은 느낌의 빛을 보았다. 지인의 말로는 이제 북극의 낮이란다.

그러나 그것도 잠시 한두 시간 사이에 다시 어두움이 깔리면서 도시는 어둠과 칙칙한 네온의 빛, 그리고 칼바람 분위기로 바뀌었다. 한밤중의 태양과 극지의 밤을 느낄 수 있다는 롱위에아르뷔엔에서의 1월의 분위기에 조금씩 적응해 나갔다.

포럼의 내용은 사실 한국이나 일본의 도서정책과는 매우 상이한 내용이 많았다. 앞서 본문에도 소개하였지만, 스발바르 군도는 노르웨이령이라고 해도 다국적 조약에 의하여 이권을 공유하고 있는 비무장 지역이기 때문에 주민들의 생활, 경제사회에 대한 제도 등이 정상적인 국가와는 다르게 운영된다.

이러한 스발바르 군도 주민들은 과연 어떠한 정체성을 가지고 있을까. 사실 스칸디나비아 3국을 비롯하여 아이슬란드, 러시아, 그리고 덴마크 같은 나라들은 스발바르에 대한 보이지 않은 영유권 분쟁과 알력을 가지고 있다. 문제점은 현재 다국적 조약에 의하여 수면 밑에 있을 뿐, 영토 문제는 늘 잠재하고 있다는 것이다.

포럼을 마치고 만찬을 가졌다. 롱위에아르뷔엔의 최고 전통요리 레스토랑에서 고래, 순록, 물개 등등 북극요리들이 선을 보였다. 스발바르 군도에서 생산하는 것이라고는 바다 생물 뿐이라, 이곳 마트에는 이러한 생물들의 고기들만 팔고, 쌀이나 밀가루 등 나머지 생필품은 전체를 수입한다. 다행히 한국의 매운 라면도 있었다. 암튼 귀한 자리에 초대해준 지인의 성의를 생각하여 만찬에서 세 가지 고기 맛을 다 보았다.

신기한 것은 고래 육회(Whale tartar)인데, 처음 나왔을 때는 마치 우리나라 쇠고기 육회로 착각할 정도로 정말 모양이 같았다. 우리나라 쇠고기 육회와 같이 위의 달걀 노른자가 올라와 있다. 이것을 고래고기와 섞어서 먹는다.

이렇게 추운 지역에서는 어떻게 닭을 키울까. 계란을 보니 그 귀중함이 예사롭지 않았다. 다음메뉴는 물개 카르파쵸(Seal carpaccio). 사실 이태리에서 쇠고기나 말, 연어, 광어 등을 재료로 하여 먹어 본 적은 있으나 물개는 처음이었다. 우리나라식으로 말하면, 전라도식 쇠고기 생고기(일명 ‘육사시미’라고 함)식으로 물개고기를 요리한 것이라고 할까. 사실 맛이 있었냐고 평가하기엔 첫 경험이라 뭐라고 말 할 수도 없었다고 할 정도이다.

대개 해외에 조사나 학회에 나가면 늘 식사가 문제이다. 특히 현지 조사의 경우에는 주민들과 함께 식사하거나 인근 식당에서 식사를 하기 때문에 거의 지역 토착 음식을 접하는 경우가 많다. 특별히 음식에 대한 혐오감은 없는 필자라도 갑작스럽게 나오는 기인한 음식에 대해서는 많은 의문점을 가지면서 식사를 한다. 음식도 문화이다.

만찬을 마치고 숙소로 돌아올 때는 걸어서 왔다. 영하 15도 정도 되는 밤 기온인데, 이런 북극의 마을을 걸어보는 것도 문화체험이라는 참가자들의 의견에 따라서 동행하였다. 한참 추울 때는 카메라 셔터 누르려고 장갑에서 뺀 손가락이 10여초도 안되는 순간에 얼 것 같은 밤 기온인데, 이곳을 걸어가자니 참으로 열정이 대단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얼굴은 칼로 베듯이 아리고, 옷은 에스키모처럼 입었어도 칼바람은 옷 속을 후벼 팠다. 그런데, 다들 말도 없이 걷기만 하는데, 멀찌감치 스키로 오는 두 사람이 보였다.

스키 없이는 살 수 없는 스발바르 군도. 추운 동토의 땅에서 다정하게 스키로 이동하는 아버지와 딸의 모습을 보니 신기하기도 하고, 흐뭇하기도 하였다.  사진/홍선기
스키 없이는 살 수 없는 스발바르 군도. 추운 동토의 땅에서 다정하게 스키로 이동하는 아버지와 딸의 모습을 보니 신기하기도 하고, 흐뭇하기도 하였다.  사진/홍선기

부녀지간에 스키로 이동하는 모습이었다. 종종걸음으로 호텔로 걸어가는 우리 일행의 모습이 우습게 보였는지, 어린아이 얼굴에 살짝 웃음이 보였다. 씩씩하고 여유롭게 스키로 걷고 있는 아버지와 딸의 모습을 보니 마음 한 구석이 따뜻하게 녹아들었다.

지난 2013년 1월 스발바르에서 개최된 포럼 참석이후, 다시 갈 기회는 많이 있었고, 또한 인근 아이슬란드에서도 학회와 미팅이 계속되고 있지만, 참석을 못하였다. 언젠가 롱위에아르뷔엔을 포함하여 스피스베르겐(Spitsbergen) 섬 전체를 탐구하고 싶다.

최근 국내에도 오지탐험을 즐기는 관광객들이 늘어나면서 스발바르 군도도 이젠 생소한 곳이 아니다. 그러나, 이 섬에서 개최된 포럼의 내용처럼, 스발바르는 다양한 국가들의 조약에 의하여 보이지 않은 통제가 있고, 경계 없는 경계 속에서 살아야 하는 주민들의 생존권과 주권에 대하여 함께 느끼면서 여행을 하면 어떨까 제안하고 싶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필자가 롱위에아르뷔엔에서의 느낀 감성은, 첫째 ‘춥다’, 둘째 ‘추웠다’, 셋째 ‘엄청 추웠다’라는 기억이다. 다시 가보고 싶은 섬, 북극권에 가장 가까운 섬 마을이다.

저작권자 © 뉴스엔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