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엔뷰] 박근혜 정부의 초대 국무총리 후보자가 다음 주 중에 발표될 것으로 전망된다.


초대 총리 인선과정은 역대 정권마다 관심이 집중됐다. 이는 초대 총리를 통해 새 정부의 국정철학 뿐만 아니라 새 대통령의 인사 스타일을 가늠할 수 있기 때문이다.


박 당선인은 새 정부 출범 전에 국무총리를 비롯한 초대 내각의 국회 인준을 모두 마무리한다는 구상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따라서 국회 인사청문회를 거쳐야 하는 총리 인선의 경우 박 당선인의 취임식인 내달 25일을 기준으로 역산하면 늦어도 다음달 4일 이전에는 총리인준 절차에 들어가야 하기 때문이다.


 

▲     © 사진=뉴스1


 

박 당선인은 주말인 19일과 20일 이틀간 공식 일정을 잡지 않고 삼성동 자택에서 총리 인선 등을 위한 마무리 점검을 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박 당선인의 한 측근은 "이번 주말에도 당선인은 공식 일정을 잡지 않은 채 자택에 머물면서 총리를 비롯한 국무위원 인선에 많은 시간을 할애할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이와 함께 총리 후보자는 3~4명으로 압축됐으며 현재 당선인의 낙점만을 남겨두고 있는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박 당선인은 대선기간 동안 "총리의 법적 권한을 보장함으로써 대통령과 청와대에 집중된 권력을 분산시키겠다"고 말해 왔으며 이에 대해 당선인의 한 측근은 "총리 후보자도 이 같은 당선인의 의중에 부합되는 인사를 지명하지 않겠느냐"고 내다봤다.


또한 총리 인선 기준은 새 정부의 조직 개편으로 경제부총리가 부활됨에 따라 경제 전문가보다 '통합형', 부처 간 업무조정 능력이 뛰어난 '관리형'에 낙점될 가능성에 무게가 실린다.


이는 박 당선인의 국정운영을 성실히 수행하면서 새 정부가 추구하는 대통합의 상징성에 부합되는 인물이 초대 총리가 될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박 당선인의 핵심 측근들은 총리 인선과 관련해 "김황식 총리만한 사람이 없냐"고 되묻는 것과 무관치 않다.


김 총리는 국무총리 임명 이후 큰 잡음 없이 안정감 있는 국정수행 능력을 높이 평가받고 있어서다.


때문에 박근혜 정부의 초대 총리도 김황식 총리와 같은 대법관 출신에 국민적 신망이 두터운 법조인 출신들이 하마평에 오르내리고 있다.


대표적인 인물로는 경남 진주 출신의 조무제 전 대법관이다. 현재 동아대학교 석좌교수인 조 전 대법관은 법조계 '청백리'로 손꼽히는 인물이다. 조 전 대법관은 총리 교체 때마다 하마평에 올랐다.


고위 공직자 재산공개가 시행된 지난 1993년 당시, 조 전 대법관이 공개한 재산이 6400만원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나 '딸깍발이 판사'라는 별명을 얻었으며 대법관 퇴임 후에는 전관예우를 받으며 돈벌이가 보장된 변호사 개업 대신 모교 후학들을 가르치겠다고 동아대 교수를 맡았다.


또한 대법관 출신의 김능환 전 중앙선거관리위원장도 유력 총리 후보군으로 오른다.


김 위원장은 충북 진천 출신으로 경기고와 서울대 법학과를 졸업했다.


김 위원장은 지난 2011년 3월 취임 이후 1년 10개월의 위원장 재직기간동안 총선과 대선 등 굵직한 선거를 큰 탈 없이 치러냈으며 양 선거를 치르면서 어느 쪽에도 치우치지 않는 공정한 선거관리로 여권 인사들의 불만이 컸다는 후문도 있다.


이와 함께 안대희 전 정치쇄신특위 위원장도 유력한 총리 후보로 하마평에 오르내리고 있다.


안 위원장은 박 당선인의 의중을 잘 파악하고 있으며 당선인과의 두터운 신뢰가 최대 강점으로 꼽힌다.


또한 김영란 전 국민권익위원장도 본인의 의사와 상관없이 총리후보로 이름이 거론된다. 김 위원장은 지난 2004년 여성 최초로 대법관에 임명됐으며 일명 '김영란법'으로 불리는 공직 부패방지법 제정을 추진해 지명도가 높고 첫 여성 대법관이란 상징성에서 높은 평가를 받고 있으나 '여성 대통령-여성 국무총리' 조합이 당선인의 총리 지명에 부담스러울 수 있다는 지적도 만만치 않다.


저작권자 © 뉴스엔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