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적 효과 65조 추산 vs 신설 경기장 ‘빚잔치’ 우려

[뉴스엔뷰] 2018 평창동계올림픽이 어느새 80여일 앞으로 다가왔다. 지난 1988년 서울올림픽 이후 30년 만에 맞는 전 세계인의 축제를 앞두고 강원도 평창군과 강릉시는 올림픽을 위한 막바지 이벤트 준비에 여념이 없다. 몇 차례 고배를 마신 후 유치에 성공한 평창동계올림픽은 강원도만의 아닌 대한민국이 침체된 경제상황을 극복할 수 있는 중요한 모멘텀이 될 수 있기에 국민적 기대가 크다. 이에 본지는 기획시리즈를 통해 평창올림픽에 대한 ‘기대와 우려’를 분석해본다. <편집자 주>

2018 평창동계올림픽대회 개막을 100일 앞둔 11월 1일 개·폐회식장인 '평창 올림픽 플라자'가 위용을 드러내고 있다. <사진= 뉴시스 제공>

입장권·숙박료 바가지 논란 변수

평창동계올림픽이 자칫 ‘빚잔치’로 끝나는 것 아니냐는 우려도 있다. 많은 전문가는 대회가 끝난 뒤 강원도 지역의 주요 경기장들이 ‘하얀 코끼리(겉만 화려하고 무용지물처럼 되는 것)’로 전락하지 않을까 걱정한다. 전체 12개 경기장 중 아직도 사후 활용 방안이 정해지지 않은 건물은 강릉스피드스케이팅경기장과 강릉하키센터정선, 알파인 경기장 등 세 곳이다.

한국산업전략연구원에 따르면 평창올림픽 이후 주요 경기장 관리·운영비는 연간 313억 원에 이를 전망이다. 반면 사후 활용을 통해 기대할 수 있는 수입은 연간 171억 원에 불과하다. 매년 142억 원의 적자가 예상된다. 사후 활용 방안이 마련된 나머지 경기장들도 관리 주체가 확정됐을 뿐 관리·유지비에 상응하는 금액 또는 그 이상의 수익을 낼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특히 올림픽 하이라이트인 개·폐회식이 열릴 평창올림픽 스타디움 ‘올림픽플라자’는 성공 개최를 위한 최대변수다. 대관령면 횡계리에 지어진 이 시설은 635억 원을 들여 지은 뒤 딱 나흘만 쓰고 부분 철거할 예정이다. 하루 사용료가 무려 158억 원이나 되는 셈이다. 

대회가 끝나면 3만5000석 규모의 관중석은 5000석만 남기기로 했다. 7층짜리 본동 건물은 3층까지만 남긴다. 남은 자리에 공연장과 기념관을 만들 예정이지만 구체적인 방안은 나오지 않았다. 사후 관리비는 연간 40억~50억 원으로 추산된다.

결국 ‘하얀 코끼리’로 전락하지 않기 위해선 해결책을 찾아내는 게 숙제다. 신설 경기장이 많이 생긴 강릉시의 인구는 20만 명이 조금 넘는다. 활용 인구에 비해 이용할 시설물이 과도하게 많은 상황이다. 결국 강릉시는 관광객 등 외부 수요를 더 끌어 모아야 한다. 전문가들은 경기장을 돌릴 ‘콘텐츠’가 중요하다고 말한다. 어떤 프로그램으로 ‘봄여름가을겨울’을 메울지가 포인트다.

외국 성공 사례를 참고할 수도 있다. 노르웨이 릴레함메르(1994년)와 미국 솔트레이크시티(2002년) 등은 겨울 스포츠 경기장이라는 ‘벽’을 뛰어넘었다. 사시사철 활용할 수 있도록 시설물을 유연하게 변화시켰다. 얼음을 없앤 후 농구 핸드볼 탁구 등 실내 스포츠장으로 둔갑시켰다. 지역 축제, 가수들의 콘서트도 열었다. 릴레함메르에선 대회 메인프레스센터와 선수 숙소에 대학 캠퍼스와 기숙사가 옮겨오기도 했다.

 

저작권자 © 뉴스엔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