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부터 캄보디아 실종·감금 의심 143건

2025-10-14     김주용 기자

[뉴스엔뷰] 지난 110개월 동안 캄보디아 현지에서 실종되거나 감금된 것으로 의심되는 사건이 경찰에 140여건에 접수된 것으로 드러났다.

사진 = 뉴시스

경찰청은 14일 언론 공지를 통해 "202411일부터 20251013일까지 캄보디아 관련 실종·감금 의심 사건이 총 143건 접수됐다"고 밝혔다.

이 가운데 대상자의 소재와 신변 안전이 확인된 사건은 91건이며, 나머지 52건은 대상자 소재 등 수사가 진행 중이다.

지난 8월 경북 예천 출신의 한 대학생이 캄보디아에서 범죄단체에 납치·감금돼 고문을 당한 끝에 숨진 사건이 발생한 이후 취업 등을 이유로 캄보디아로 떠난 20~30대들이 가족과 연락이 끊기는 사례가 잇따르며 관련 신고가 급증하고 있다.

경찰은 대응책으로 코리안 데스크(한인 사건 처리 전담 경찰관)를 캄보디아에 설치하고 경찰 영사를 확대 배치한다는 방침이다. 국가수사본부장의 캄보디아 현지 방문도 추진 중이며, 국제 공조수사 인력은 30명으로 보강할 방침이다.

이에 대해 여야 의원들은 한목소리로 "군사 작전까지 고려해야 한다"며 강경 대응을 촉구하고 있다.

박찬대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지난 13일 국회 정무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외교부 자료에 따르면 캄보디아 납치·감금 신고는 20214건에서 지난해 220건으로 늘어났고, 올해 8월 말 기준으로는 330"이라며 "갑자기 올해 발생했던 게 아니고 2021년 이후 (신고가) 계속해서 폭증하고 있었는데도 이 부분 업무를 일부 놓쳤던 게 아니냐"고 지적했다.

국민의힘 강민국 의원도 "2011년 우리 국민이 소말리아 해적에 납치됐을 때 우리가 군사작전으로 구출했다""캄보디아 군경과 협조해 우리 군이 군사작전을 벌여야 한다고 생각한다. 캄보디아가 군경 합동작전을 거부한다면 (ODA 투입 자금) 회수도 고민해봐야 한다"고 강조했다.

실제 캄보디아에 대한 ODA 예산은 윤석열 정부 출범 이후 크게 늘었다. 20221789억원에서 올해 4353억원으로 증가했다.

또 지난해 한국의 캄보디아 지원 규모는 19500만달러(2686억원)에 달해 캄보디아가 한국의 최대 수원국으로 떠올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