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국정자원 화재 전소' 96개 시스템 구축

2025-09-29     김주용 기자

[뉴스엔뷰] 정부는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화재로 직접 영향을 받은 96개 정부 시스템의 대구센터 이전과 시스템 구축까지 최소 4주 가량 소요될 것으로 예상했다.

사진 = 뉴시스

김민재 행정안전부 차관은 29일 정부세종청사에서 가진 국정자원 화재 관련 브리핑에서 이같이 밝혔다.

김 차관은 "정보자원 준비에 2, 시스템 구축에 2주 정도 소요될 것으로 예상된다"면서도 "대구센터 입주기업 협조 하에 최대한 일정을 당기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고 말했다.

정부는 이날 화재에 직접 영향을 받아 장기간 장애가 예상되는 96개 시스템 목록도 공개했다.

해당 시스템은 1등급으로 파급 효과가 가장 큰 법제처의 국가법령정보센터, 국민권익위원회의 국민신문고 서비스, 행정안전부의 안전디딤돌, 국가보훈부의 통합보훈 등이 포함됐다.

정부는 이번 화재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아 전소된 대전 본원의 96개 시스템을 대구 민관협력형 클라우드 시설로 이전하는 작업을 추진하고 있다.

국민비서 서비스가 먹통이 되면서 이와 연계된 범죄경력회보서 신청·처리 알림 기능과 우편 자동 발송은 운영되지 않고 있다.

유실물 종합관리시스템(로스트112)도 분실물 접수 등 문자 메시지 알림이 중단됐다.

실종 아동과 여성 등을 위한 사회적 약자 종합지원체계도 로그인 등 3개 기능이 마비됐다.

전국 경찰헬기 16대를 관리하는 경찰헬기 항공시스템 역시 제대로 기능하지 않아 부품 수리와 헬기 위치·현황 등을 수기로 작성해 가동하고 있다.

앞서 지난 26일 오후 820분께 대전 유성구 국가정보자원관리원에 불이 났다. 소방 당국은 장비 67대와 인력 242명을 투입, 10시간 만에 큰 불길을 잡았다.

여야는 화재 원인과 관련해 전 정권과 현 정권 예산 편성 및 부실 대응 문제를 거론하며 '네 탓' 공방을 벌이고 있다.

행안위 여당 간사인 윤건영 민주당 의원은 전날 화재 현장 방문을 마친 뒤 취재진과 만나 "이런 큰 참사가 발생했던 이유가 지난 정부에서 배터리와 서버를 이중화하는 작업들이 제대로 진행되지 못했던 부분들, 특히 예산을 제대로 수립하지 못했던 부분들(때문이라는)에 대해서도 이러저러한 이야기가 나왔다"고 말했다.

야당 간사인 서범수 국민의힘 의원은 "대한민국 디지털 성장과 위기 대응 능력 부실로 인해 사고가 터졌다""총체적 무능이고, 인재이고, 대응 참사"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