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정당] 국민의힘, ‘장외투정’?

국민의힘, 윤어게인’-‘부정선거 중단’ 등 극우 프레임에 갇혀 민심에 이반되는 국민의힘 장외투쟁…‘투정’ ‘쇼’ 평가 절하 국민의힘 내 오염된 의원들 정리해야 제대로 된 ‘보수’ 정립

2025-09-25     전용상 기자

[뉴스엔뷰] 국민의힘이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에 대응하기 위해 투 트랙 전략을 꺼내 들었다. 원내에서는 필리버스터(무제한 토론)를 통해 법안 처리를 최대한 지연시키고, 원외에서는 대규모 장외투쟁을 전개하며 야당 탄압사법부 장악이란 프레임으로 여당에 대한 압박을 강화하고 있다.

자유한국당 시절이던 2019년 이후 6년 만에 다시 거리로 나선 국민의힘의 선택은 과연 민심의 공감을 얻고 있을지는 불투명하다 못해 요원하다는 평가를 받는다고 한다.

지난 21일 장동혁 국민의힘 대표와 송언석 원내대표를 비롯한 국민의힘 관계자들이 대구 동대구역 광장에서 열린 야당탄압·독재정치 국민 규탄대회에 참석해 구호를 외치고 있다. 사진 / 뉴시스

장외투쟁의 경우 최근 대구 집회를 시작으로 28일에는 서울 도심에서 대규모 장외투쟁을 기획 중이지만, 지금의 흐름대로라면 중도층은 고사하고 보수의 지지를 얻는 것도 그리 쉽지 않을 전망이다.

장외투쟁이 동력을 잃은 이유는 21일 대구에서 개최한 장외집회조차 2만 명 수준(경찰 추산)으로 참여가 저조했기 때문이다.

6년 만에 열린 장외 집회이고, 더구나 보수의 심장이라 불리는 대구에서 열렸다는 점에서 2만 명 수준은 초라한 성적표를 넘어 아예 관심 밖이라는 게 정치권의 분석이다.

선심을 써 국민의힘의 주장대로 7만 명이 모였다고 후하게 계산하더라도, 보수의 핵심 지역인 대구에서조차 10만 명 선에도 미치지 못했다는 점은 기대 이하는 물론 보수로의 가치를 상실했다는 평가가 나오기에 충분하다.

국민의힘은 여당의 조희대 대법원장 사퇴 압박, 사법부 장악 시도를 핵심 메시지로 부각하고 있지만, 시민들의 공감과는 상당한 거리가 있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그만큼 현 사법부 수장의 과거 판결이나 정치적 스텐스 특히, 내란수괴의 재판을 받는 윤석열 전 대통령이 임명한 사법부의 수장이라는 점에서 이미 자격을 상실한 인물이라는 것이다.

또한 국민의힘에 애정을 갖고 있는 보수성향의 시민들의 경우 국민의힘 내 오염된 의원들 정리해야 제대로 된 보수가 정립될 것이라며 그렇게라도 주목도를 높이는 퍼포먼스나 메시지의 감성적 울림으로 보수와 중도를 잡아야 할 것이라고 조언한다.

국민의힘이 대구에 이어 서울에서도 대규모 장외투쟁을 벌이겠다고 예고했지만, 당 내부에선 벌써 회의론이 나오고 있다.

대구 집회 당시에 윤어게인’, ‘STOP THE STEAL(부정선거 중단하라)’과 같은 팻말이 나오면서 극우 프레임이 강화되고 있기 때문이다.

국민의힘 초선 의원 측은 집회보다 차라리 국정감사 등 정기국회를 보이콧하는 게 더 나을 것 같다면서 이번 국감은 어차피 이재명 정부가 4개월 밖에 되지 않아 윤석열 정부 국감이 될 수밖에 없는 상황에서 굳이 정기국회를 병행할 필요가 없을 것 같다고 말했다.

국민의힘이 현재 외치고 있는 야당탄압, 독재정치 구호로는 중도층을 설득할 수 없다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이 때문에 국민의힘의 장외투쟁에 대해 장외투정이라는 비아냥까지 나오고 있다.

여론조사 결과에서도 이 같은 흐름은 감지된다. 정부여당에 대한 비판 여론도 있지만, 그것이 국민의힘의 장외투쟁으로 이어지는 것은 또 다른 문제다.

한국사회여론연구소(이하 KSOI)922-23일 양일간 전국 18세 이상 1천 명을 대상으로 무선 ARS 자동응답 방식으로 실시해 24일 발표한 정기조사 결과(표본오차 95%, 신뢰수준은 ±3.1%P)에 따르면, 정당 지지도에서 더불어민주당이 42.6%, 국민의힘 32.5%로 오차범위 밖에서 우세했다.

이어 개혁신당 3.1%, 조국혁신당 1.9%, 진보당 1.4% 순으로 집계됐고, ‘지지정당 없음14.6%로 나타났다.

연령대별로 20대와 70세 이상을 제외한 모든 연령대에서 더불어민주당이 우세했다. 지역별로는 서울, 경기/인천, 호남권에서는 더불어민주당이 우세했고 충청권, 강원/제주, 대구/경북, 부산/울산/경남에서는 국민의힘이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유한국당 시절인 2019년 이후 6년 만에 진행된 국민의힘 장외투쟁에 대해서는 부적절한 방식이라는 의견이 49.5%, ‘적절한 방식이라는 의견(35.3%) 보다 14.2%P 높게 조사됐다.

연령별로 20(적절한 방식 37.5%)를 제외한 전 연령대에서 부적절한 방식이라는 의견이 우세했으며 장외투쟁이 시작된 대구/경북과 강원/제주에서만 적절한 방식이라는 의견이 높았다.

진보층(73.2%), 중도층(57.4%)에서 부적절한 방식이 크게 우세했으며, 보수층에서도 부적절 의견이 26.7%에 달했다.

KSOI 측은 국민의힘 장외투쟁에 대해 정당 지지율과 유사한 정도의 공감대가 형성되고 있어 결국 지지세의 확장보다는 기존 지지층에 대한 소구에 효과가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면서 더불어민주당과 오차범위 밖 지지율 격차를 극복할 계기가 되지는 못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더불어민주당 문대림 대변인은 22일 국회 소통관 기자회견장 브리핑을 통해 장외투쟁은 국회의 책무를 저버린 반헌법적 정치 쇼일 뿐이라며 극우 동조자들과 손잡은 내란옹호 집회와 대선 불복 시도가 지속된다면 국민께서는 결코 용납하지 않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동대구역 광장 장외 집회에서 장동혁 대표가 여당 대표를 향해 반헌법적 정치테러 집단의 수괴라는 망언을 서슴지 않았고, 송언석 원내대표는 범죄자 주권정부라는 저급한 멸칭으로 헌정 질서를 모욕했다는 이유에서다.

같은 당 김지호 대변인도 브리핑을 통해 국민의힘이 민생과 정책은 외면한 채, 거리에서 극단적 언사로 국민을 선동하고 대통령의 정통성까지 부정하는 것은 명백히 퇴행적 정치라며 극우 선동과 대선 불복으로 정권을 흔들겠다는 발상은 대한민국 민주주의에 대한 중대한 도전이며, 국민에 대한 모독이라고 비난했다.

여론조사 결과를 통해 짐작할 수 있듯 지금 국민의힘에 절실한 것은 양적 확대보다 질적 공감이라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을 걷으로 보인다.

이를 위해서는 메시지 정제와 스토리텔링이 필요하다. 지금처럼 야당탄압’, ‘독재’, ‘사법부 장악등의 표현을 반복하기보다는, 중도층이 체감 가능한 이슈로 확장하는 것이 필요하다.

물론 원내활동 강화도 필요하다. 국회 본회의 필리버스터, 정책 제안 등 원내에서의 활동이 유권자들에게는 책임 있는 야당의 모습으로 인식되기 쉽기 때문이다.

장외 투쟁에만 치우치면 장외투정’, ‘라는 인상을 줄 위험이 있다는 점을 깊이 새겨야 할 것으로 보인다.

물론, 이보다 우선되어야 할 것은 당내의 오염된 인사들에 대한 정리라는 게 정치권의 분석이다.

여론조사와 관련 자세한 사항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