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산그룹, AI 혁신 로드맵 구상
[뉴스엔뷰] 두산그룹이 'AI 시대'에 맞는 혁신전략을 모색하고 경쟁우위를 선점하기 위해 로드맵을 구상한다.
두산그룹이 인공지능(AI) 전환을 차세대 성장 전략의 핵심 축으로 삼고 글로벌 현장에서 해법 찾기에 나섰다.
박지원 부회장을 비롯한 주요 경영진이 미국 시애틀과 실리콘밸리를 찾아 아마존, 엔비디아 등 세계적 AI 기업들과 직접 만나 최신 기술과 활용 사례를 점검하며, 그룹 전반의 경영혁신과 산업별 피지컬 AI 적용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두산은 박 부회장과 정연인 두산에너빌리티 부회장, 유승우 ㈜두산 사장, 김민표 두산로보틱스 부사장 등은 22~25일 미국 시애틀과 실리콘밸리 출장길에 올랐다.
경영진은 아마존, 엔비디아, 퍼플렉시티 등 글로벌 AI 산업의 최전선에 있는 업체들을 방문해 AI 기술 현장을 직접 확인하는 일정이다. 또 이 기업 관계자는 물론, AI 전문가 및 컨설팅 업체 등과도 머리를 맞댄다.
정 부회장은 물론, 주요 사업회사 최고 경영자들이 미국으로 날아가 AI 공부에 나선 것은 'AI 기반 업무 선진화 등 전 분야 혁신이 필요하다'는 경영진의 판단 때문이다.
22일 첫 방문지로 시애틀 아마존 본사를 찾았다. 아마존은 AI 기반 음성비서 알렉사를 운영하고 있으며 고객 패턴 분석, 물류창고 운영, 로봇 자동화 등 다양한 업무 분야에 AI가 깊숙이 자리잡았다.
두산 경영진은 아마존의 AI 기반 제조 및 사무 생산성 개선프로젝트 사례를 살펴본 뒤, 물류센터를 방문해 현장에 적용된 AI 및 로보틱스 기술을 확인하고 협업 방향을 모색했다.
이를 토대로 제조 분야 뿐 아니라, 기업을 구성하는 전 부분에 걸친 AI 혁신과 이를 통한 생산성 향상 과제를 도출해 낼 계획이다.
엔비디아에서는 에이전틱 AI와 피지컬 AI에 대한 기술현황과 사례를 확인하고, 각 사업부문별 피지컬 AI의 비전과 미래전략에 대한 논의와 협업을 진행할 예정이다.
두산은 에너지·건설기계 등 기존 산업에 특화된 피지컬AI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번 경영진의 엔비디아 방문과 향후 협업은 이를 보다 가속화하는 계기가 될 예정이다.
정 부회장과 경영진은 시간을 쪼개 빅테크 기업 외에도 스탠포드 HAI에서 최예진 교수 등 주요 연구진을 만나 AI 기술현황 전반에 대해 심도 있게 학습하는 시간을 갖는다.
또한 경영진은 피지컬인텔리전스, 퍼플렉시티 등 피지컬 AI, 제조, 사무, 투자, 인사 등 AI와 관련한 다양한 분야의 스타트업 및 전문가 집단과 만나 협업을 논의하고 향후 빠른 의사진행을 위한 네트워크를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두산 관계자는 "두산은 그동안 AI 관련 조직을 강화하고, 경영진을 대상으로 AI 집중교육을 진행했다"며 "이번 출장을 계기로 AI혁신에 더욱 속도를 낼 것이며, 실제 사업에서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다각도로 찾아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