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대 증원' 의대생 복귀 선언

2025-07-14     김주용 기자

[뉴스엔뷰] 의대 증원에 반대해 집단 휴학을 한 의대생들이 17개월 만에 전원 복귀를 선언했다.

사진 = 뉴시스

교육부는 의과대학 학생들이 복귀 의사를 밝힌 것과 관련해 대학과 관계부처 등과 협의해 방안을 모색할 계획이다.

이선우 대한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학생협회 비상대책위원회(의대협 비대위) 비상대책위원장이 지난 12일 서울 용산 대한의사협회 회관에서 국회 김영호 교육위원장, 박주민 보건복지위원장, 김택우 의협 회장과 함께 기자회견을 열고 의대생 전원 복귀를 선언하면서 의료정상화 논의는 급물살을 타고 있다.

전공의 단체인 대한전공의협의회(대전협) 비상대책위원회도 14일 더불어민주당과 비공개 간담회를 예고, 사실상 복귀 수순에 들어갔다.

서울시의사회는 이날 성명을 내고 "의료 정상화를 향한 진정한 전환점"이라면서 "의정 간 무너진 신뢰를 회복하고 의료체계를 재건할 수 있는 진정한 전환의 시작점이 돼야 한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의대생들이 어떠한 불이익 없이 교육에 전념할 수 있도록 서울시 소재 의과대학들과 협력해 학사일정 조정, 행정적 보호 조치, 심리적 안정망 구축 등을 포함한 실질적인 지원책 마련에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이어 "(전공의)수련 복귀의 조건과 방향을 논의할 정부·의료계 간 실질적 협의체 구성이 반드시 병행돼야 한다"면서 "대한의사협회(의협)이 의료계 종주 단체로서 사직 전공의들의 희생에 가까운 투쟁이 헛되지 않도록 보다 적극적인 역할을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차영아 교육부 부대변인은 이날 교육부 정례브리핑을 통해 "교육 당사자인 대학 및 보건복지부 등 관계부처와 협의해서 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생각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학사유연화에 대한 부분은 지금 결정된 바는 없고 복귀 상황이나 여건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해야 한다""적극적으로 의대교육을 정상화하는 방안을 모색하겠다"고 설명했다.

의대생들은 지난해 2월 정부가 3058명이던 의대 정원을 2000명 늘린 5058명으로 조정하는 의료개혁안을 발표하자 의대 교육 질 저하 등을 이유로 강의실을 떠났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교육부는 지난 3월까지 정상적인 수업이 가능할 정도로 학생들이 복귀하면 2026학년도 의대 모집인원을 5058명에서 증원 전인 3058명으로 조정하겠다고 밝혔다. 교육부가 제시한 데드라인까지 의대생 복귀율은 25%에 그쳤으나 대승적 차원에서 2026학년도 의대 모집인원을 3058명으로 줄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