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시,시민과 함께2050탄소중립 실현 나선다
제1차 탄소중립 녹색성장 기본계획 공표…2030년까지36%감축 목표
[뉴스엔뷰 고양] 고양특례시(시장 이동환)는 2050년 탄소중립 달성과 지속가능한 도시 전환을 목표로‘제1차 고양특례시 탄소중립 녹색성장 기본계획(2025~2034)’을 지난30일 공표했다고 밝혔다.
이번 계획은‘시민과 함께 미래를 바꾸는 탄소중립 도시 고양’을 비전으로, 2030년까지 2018년 관리권한 온실가스 배출량의36%감축과 2025~2034년 세부이행계획을 담고 있다.
이번 기본계획은「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탄소중립·녹색성장 기본법」에 따라 수립됐으며, 10년간의 계획기간 동안 분야별 감축사업을 통해 지속가능한 도시로의 전환을 도모한다.
본 기본계획은 전 세계적인 기후위기에 대응하고 지속가능한 탄소중립도시 달성을 위한 중장기 로드맵이다. 국가와 경기도는 각각2023년4월과 2024년4월, 2018년 배출량 대비 2030년까지 온실가스를40%감축하는 것으로 목표로 세부이행계획을 발표한 바 있으며, 전국의 기초지자체는 올해5월까지 기본계획을 공표해야 한다.
시는 이번 계획 수립을 위해 지난해부터 각 부서별로 세부사업 담당자 의견을 반영하고, 두 차례 간담회와 시민공청회를 통해 시민 의견을 적극 수렴했다.
시는 이번 기본계획을 통해 2030년까지 2018년 대비 온실가스를36%, 2034년까지39%감축하는 것을 목표로 설정했다. 총5개 부문, 19개 전략, 105개 세부사업을 통해 이를 이행할 계획이며, 2030년까지 약1조8,900억 원, 2034년까지 총2조8,300억 원의 예산이 투입된다.
이번 고양시 기본계획은 국가나 경기도 온실가스 감축목표보다 조금 낮은 수치이나, 국가 및 경기도 계획 상 세부사업물량을 모두 만족해 국가나 경기도가 온실가스 감축목표를 수립하는 데 기여하고자 노력했다. 특히 시는 실현 가능성이 낮은 과도한 목표보다는 현실적인 감축목표와 실행계획을 통해 실효성을 높인다는 방침이다.
또한 고양시 기본계획은 온실가스의90%가 건물과 수송부문에서 배출되는 대도시집중형 배출특성에 맞춰 건물과 수송부문 위주로 주요 대책이 작성됐다.
건물부문은7개 추진전략29개 세부사업으로 구성했으며▲건물에너지효율 개선▲에너지절감 녹색생활실천확대▲미니수소도시 등 신재생에너지 확대 등이 주요전략이다.
수송부문은4개 추진전략, 36개 세부사업으로,▲GTX-A,인천2호선 등 철도중심의 교통체계 구축▲친환경차 보급▲대중교통 서비스 개선 등이 주요 대응전략이다.
이외에도 폐기물,농축산,흡수원 부문의 대응전략과 세부사업 추진계획 등을 담았다. 세부사업의 상당수는 시민의 참여가 필수적인 만큼 시는 앞으로 시민 참여 확대를 위한 홍보를 적극적으로 진행할 계획이다.
이동환 고양특례시장은“탄소중립 녹색성장 기본계획은2050년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첫걸음”이라며, “시민과 함께 기후위기를 극복하고 지속가능한 미래를 만들어가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