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호처·공수처·경찰 3자 '빈손' 회동

2025-01-14     김주용 기자

[뉴스엔뷰] 대통령경호처는 14일 오전 경찰과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와 윤석열 대통령 체포영장 집행 관련 협의를 위한 3자 회동을 가졌으나 이견을 좁히지 못한 것으로 전해졌다.

사진 = 뉴시스

경호처는 이날 경찰과 공수처의 체포영장 집행 시도와 관련해 "사전 승인없이 강제로 출입하는 것은 위법한 것으로, 불법적인 집행에 대해서는 관련 법률에 따라 기존 경호업무 매뉴얼대로 대응할 것"이라고 밝혔다.

경호처는 입장문을 통해 "대통령 관저를 포함한 특정경비지구는 경호구역이자 국가보안시설, 국가중요시설, 군사시설 보호구역으로 출입을 위해서는 반드시 책임자의 사전 승인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이어 "경호처와 경찰,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는 물리적 충돌방지를 위해 기관 상호간 충분한 협의를 진행했다""체포영장 집행 시 어떠한 경우에도 물리적 충돌을 막기 위해 최대한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

그러나 경호처 내부에서는 간부들이 중무장을 지시한 김성훈 경호차장에 반발하며 김 차장 사퇴를 촉구하는 등 내부 갈등이 심화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지난 11일 경호처 내부망에 수사기관의 체포영장 집행을 막으면 위법이라는 취지의 글이 올라왔다가 삭제됐다.

게시글에는 "영장의 위법 여부에 대한 논란이 절차에 의해 해소되는 상황에서 수사기관의 체포영장 집행은 공무상 정당한 행위며, 영장 집행 행위에 대한 물리력 행사는 공무집행방해다. 수사기관의 영장 집행에 대한 협조가 필요하다"는 내용이 담겼다.

이 글은 전날 김 차장의 지시로 지워진 것으로 알려졌다. 글 작성자 소속 부서장이 삭제 지시를 거부하자 전산 담당 직원에게 글을 삭제하게 시킨 것으로 알려졌다.

이 사실이 알려지면서 논란이 되자 삭제된 글은 하루 만에 다시 복구된 것으로 파악됐다.

경호처 내부 동요가 크다는 편지도 공개됐다. 한 경호처 직원은 MBC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에 편지를 보내 "지휘부와 '김용현·김건희 라인'만 살아있고, 일반 직원들은 동요가 크다""대다수 직원은 명령이라 마지못해 여기 있다. 그냥 열어줄 수 없으니까 서 있는 정도"라고 전해지기도 했다.

실눈처럼 갈라지기 시작한 균열은 시간이 지나갈수록 굵어지며 파손되기 마련이다.

한편, 국방부는 대통령 체포 영장 집행 시 군 경호부대가 동원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경호 국방부 공보과장은 이날 정례브리핑을 통해 "군 경호부대는 관저 외곽 지역 경계 근무라는 본연의 임무에만 전념하고 영장 집행 간에는 동원되지 않을 것임을 명확히 말씀드린다"고 전했다.

이 과장은 "경호처에도 국방부 입장을 재차 전달했고, 경호처에서도 군 경호부대를 운영하지 않을 것임을 확인해줬다"면서 "앞으로도 군 경호부대는 책임 지역 외곽 경계 등 본연의 임무를 충실히 수행할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