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시,꽃의 도시 넘어 웰니스 도시로

화훼유통·생산시설,스마트팜 보급 확대, 화훼산업 경쟁력 강화 로컬푸드 판로 넓히고 가와지쌀·일산열무 육성…안심밥상 제공

2024-07-11     이한영 기자

[뉴스엔뷰 고양] 고양특례시는 화훼 생산·유통기반을 새롭게 구축하고 스마트팜 보급을 확대해 지속가능한 화훼산업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다.또 로컬푸드 판로 확대로 안심밥상을 제공하고 반려동물 공간 확충과 의료기관 연계 치유농업 활성화로 행복하고 건강한 삶을 만드는 웰니스도시로 거듭나고 있다.

고양시농업기술센터-건국대학교 업무협약식/사진 고양시

이동환 고양특례시장은고양시는 국내 최대 꽃박람회가 열리는 대표적인 화훼도시이자 로컬푸드의 메카라며화훼산업과 로컬푸드 인프라를 확충해 지속가능한 생산기반을 마련하고 성숙한 반려동물 문화와 농업의 치유기능을 확산해 자연과 동물,사람이 어울려 살아가는 웰니스 도시를 만들어 나가겠다고 말했다.

고양시는 화훼유통시설과 생산시설을 현대화해 화훼산업 선도도시로서 입지를 강화하고 스마트팜 보급을 확대해 지속가능한 농업 생산기반을 구축하고 있다. 지난해10월 원당동에는 화훼류 집하부터 경매,·소매,판매까지 가능한 전국 최대규모 화훼전용 유통시설 수도권화훼종합유통센터가 문을 열었다. 320억원을 투입해 부지면적41,863,건축연면적2,771규모로 건립됐으며 투명한 거래를 위해 전자경매시스템을 도입한게 특징이다.

수도권화훼종합유통센터는 개장 이후 서울·인천·의정부 등 주요지역의 출하물량을 유치해 상반기100억원의 매출액을 기록하며 판매실적을 늘려가고 있다.인근에는 지난해110억원의 매출을 올린 고양화훼산업특구(원당,주교화훼단지)가 위치해 시너지 효과가 기대된다.

시는 지난5월 열린2024고양국제꽃박람회에 고양시 생산 화훼를90%이상 수급·사용하며유통비용 절감과 화훼농가 소득 증대에 노력하고 있다.고양국제꽃박람회는 올해 총68만명의 관람객과25개국260개 기관이 참가해 화훼판매액6억원과 화훼비즈니스상담210건을 달성하며 지역경제 활성화와 화훼교류의 장으로 자리매김했다.

특히 이번 꽃박람회에서는 헤스티아,홀란디아 등 고양시가 육성한7종의 신품종 장미가 눈길을 끌었다.국내 최대 장미생산지인 고양시는 꾸준한 장미 육종연구로현재까지34개의 품종을 개발·보급했다.시는 올해 육성품종 국내·외 통상실시권산업화를 추진해 화훼농가 경영비를 절감할 계획이다.

고양시 로컬푸드 직거래 판로 확대 업무 협약식/사진 고양시

고양시 로컬푸드 직거래 매장은18개소,지난해 매출액은950억원,이용객은760만명으로전국 최다 매장,최대 매출을 자랑한다.시는 지난해 일산농협,이랜드 킴스클럽과 협약을 맺고 서울경기인천 등19개소 킴스클럽에 로컬푸드 직매장을 입점하며 로컬푸드 판로를 확대하고 있다.로컬푸드 직매장 확대에 따라 장항동에는 지난해 전국 최초로 선별저온저장포장배송 대행이 가능한 로컬푸드 전용 물류센터가 들어섰다.

로컬푸드 직매장에서는 고양시 특화농산물 가와지쌀과 일산열무도 손쉽게 만나볼 수 있다.쫀득한 식감으로 인기가 높은 가와지쌀은 소형가구와 웰빙푸드 수요에 맞춘 소포장 상품과 친환경쌀,현미쌀을 이달 중 온라인 스마트스토어고양e에서 선보일 예정이다.

제철을 맞은 일산열무는 지난4월 지리적 특성에 기인한 품질과 명성을 인증하는 지리적표시115호로 등록됐다.포장재에 지리적표시(PGI)마크를 확인한다면 타 지역 열무와 혼동하지 않고 신선하고 아삭한 일산열무를 맛볼 수 있다.

한편 고양시농업기술센터는 잔류농약검사,커피박 재활용 축산농가 악취저감축분퇴비화 기술 개발,천적 활용 방제기술 보급 등 안전한 농산물 생산을 돕고 있다.

고양시는 시민과 반려동물을 위한 공간을 조성해 동물친화도시를 만들고 있다.특히 지난5월 개장한 일산서구 반려동물공원은16,530에 동물교감치유센터와 반려견놀이터,어질리티 등을 갖추고 연중무휴로 운영 중이다. 2021년 개장한 덕수공원 반려견 놀이터는 대형·중형·소형견으로 구분해 기질평가 등 업무 프로그램도 운영하고 있다.

또 지난5월에는 도시공원 관련 조례를 개정해 반려견 놀이터 설치기준을 완화했다.설치기준 완화에 따라 시는 지난해 식사중앙공원과 정발산공원에 조성한 반려견 간이놀이터를 일반놀이터로 전환해 시민 모두 즐길 수 있는 도심형 반려견 놀이터로 운영할 계획이다.

아울러 시는 국립암센터 암환자,장애인 등 수요자 맞춤형 치유프로그램으로 치유농업을 확산하고 있다. 2022년 해븐리병원과 진행한 치유프로그램 운영결과는 지난해인간식물환경학회 춘계학술대회에서 최우수상을 수상해 치유농업의 의료효과를 입증했다.올해는 건국대와 업무협약을 체결해 치유농업 공동연구를 진행 중이며 농업기술센터 내에는식물병원 설치와 치유농업시스템 구축을 완료해 하반기부터 시범 운영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