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쓰오일, 영업이익 3.4조 '역대 최대'…4분기엔 1575억원 적자
[뉴스엔뷰] 에쓰오일이 국제유가 상승과 정제마진 강세에 힘입어 지난해 역대 최대 실적을 달성했지만, 4분기엔 적자를 기록했다.
에쓰오일은 지난해 연매출 42조4460억원, 영업이익 3조4081억원을 기록했다고 1일 공시했다.
매출과 영업이익은 각각 전년보다 54.6%, 59.2% 증가했다.
그러나, 4분기 매출액은 10조 5940억원, 영업실적은 1575억원 영업적자를 기록했다.
에쓰오일은 원/달러 환율이 급변동한 가운데 일관성 있는 환위험 관리 정책의 운영을 통해 4분기 영업적자에도 불구하고 순이익은 2313억원을 기록했다.
지난해 매출과 영업이익은 모두 역대 최고 규모로, 매출 증가는 국제유가 상승에 따른 제품 판매단가 상승이 호실적을 이끌었다.
사업부문 별로는 정유부문은 영업이익 2조3465억원, 윤활부문은 1조1105억원을 달성했다. 석유화학부문은 489억원 적자를 기록했다.
2022년 순이익은 2조1068억원을 기록했다. 순이익은 자사의 지속성장과 한국의 에너지 전환 지원을 위해 추진 중인 9조원 규모의 석유화학 프로젝트인 '샤힌 프로젝트'와 주주들에 대한 배당 및 재무건전성 강화 재원으로 활용할 계획이다.
에쓰오일은 정제설비 부족 현상이 지속되면서 정제마진이 지난해 이전보다 향상된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분석했다.
에쓰오일은 단기적으로 수요 증가보다 설비 순증설이 하회하여 타이트한 수급상황이 지속되다가 2025년 이후부터는 신규 정제설비의 순증설이 현저하게 감소하여 공급 부족이 확대될 전망이다.
또 유럽연합EU의 러시아 정유제품 금수조치가 2월 5일 발효 예정으로 러시아는 일부 디젤 수출처 재편과 더불어 정유제품 생산 감소가 불가피할 것으로 판단했다.
중국의 리오프닝 진전에 따른 내수 수요 반등 전망으로, 내수 소비 물량 증가로 인한 수출 여력이 감소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밖에도 주요 기관들의 글로벌 석유 수요 성장 전망에 따르면 중국 내수 및 글로벌 항공유 수요를 중심으로 글로벌 석유 수요는 펜데믹 이전 수준으로 회복하고 있다. 리오프닝 수요 회복으로 인해 글로벌 석유수요는 2024년까지 팬데믹 이전 평년을 웃도는 성장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