효성 조현준 회장 "친환경 제조 환경 구축 적극 나설 것"
[뉴스엔뷰] 효성그룹의 조현준 회장은 친환경 아이디어 공모전을 개최했다.
조 회장은 공모전에서는 텀블러 사용 및 패트병 수거 캠페인 등 전사적 친환경 활동을 펼치는 데 이어 멸종위기 야생생물 보전은 물론 해양 생태계까지 챙기며 친환경 행보를 이어가고 있다.
효성은 28일 지주사인 ㈜효성과 효성티앤씨㈜, 효성중공업㈜ 3개사가 농어촌상생협력기금을 출연해 한국수산자원공단·경남 거제시와 함께 잘피숲 보전 활동 사업을 추진하기로 했다.
이번에 효성이 출연한 기금은 잘피 분포 현황 및 서식 환경 모니터링, 잘피 보식 필요 장소에 이식, 바다에 버려진 폐어구 수거 등 해양 환경개선 활동 등에 활용될 예정이다.
효성은 잘피숲, 전주물꼬리풀 등 생태계 보전활동에도 적극 참여하고 있다.
대표적인 블루카본(해양생태계가 흡수 가능한 탄소)인 잘피는 해양생태계법에 의해 지정된 해양보호생물이다. 지난 2009년부터 한국수산자원공단이 경상남도 거제시 다대·다포리 해역에 군락지인 잘피숲을 조성해 거제시가 관리 활동을 해오고 있다.
앞서 효성첨단소재㈜와 효성화학㈜도 각각 전북 전주에 2급 멸종위기 야생식물인 전주물꼬리풀을 식재 및 보전하는 사업, 청주동물원과 함께 국가보호종인 동물들의 행동풍부화 활동 등을 실시한 바 있다.
아울러 나일론 친환경 섬유 생산을 위한 ‘해중합 설비’도 본격 가동하고 있다.
효성티앤씨는 12월 중순부터 울산공장에서 나일론 리사이클 섬유를 생산하기 위한 해중합 설비가 본격 가동됐다. 효성티앤씨는 2007년 세계 최초로 폐어망을 재활용해 나일론 리사이클 섬유 개발에 성공했다.
연산 3600t의 생산 능력을 갖춘 해중합 설비는 바다에서 수거된 폐어망을 화학적으로 분해해 나일론의 원료인 카프로락탐을 제조하는 설비다. 회사는 이를 통해 나일론 리사이클 섬유를 만든다.
효성 관계자는 "이번 투자는 폴리에스터 리사이클 섬유뿐만 아니라 나일론 섬유 시장에서도 글로벌 친환경 섬유 시장 트렌드를 리드해 나가겠다는 조 회장의 주문에 따른 것"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효성은 전남 해상의 풍력 발전으로 만들어진 전기로 물을 전기 분해하는 수전해 방식으로 청정 그린수소를 생산할 예정이다. 그린수소 생산설비에 들어갈 전력을 생산하기 위한 풍력 등 재생에너지 사업에도 적극 참여하기로 했다. 향후 그린수소 생산량을 최대 연산 20만톤까지 늘릴 계획이다.
조 회장은 친환경 기업문화 조성을 위한 캠페인을 통해 임직원들의 일상 속 친환경 실천도 독려하고 있다.
효성티앤씨는 지난해 5월부터 마포∙반포 본사 임직원들은 '사무실 개인컵 사용' 캠페인을 진행해오고 있다. 탕비실 등에 비치된 종이컵을 비롯한 일회용품을 없애고, 임직원들에게 개인용 텀블러 구입비를 지급했다.
올해 2월부터는 페트병 수거 캠페인도 실시하고 있다. 임직원들이 다 쓴 페트병을 모으면, 효성티앤씨의 폴리에스터 리사이클 섬유 '리젠'으로 만든 가방 등으로 돌려주고 있다.
조 회장은 "친환경 경영은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넘어 생존을 위한 필수 요소"라며 "보전 활동에 적극 동참하는 것은 물론 생태계와 함께 살아갈 수 있는 친환경 제조 환경을 구축함으로써 글로벌 시장에서 토털 친환경 제조업체로 리드해 나갈 수 있도록 적극 노력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