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오미크론 감소세 전환...스텔스 오미크론이 우세종"

국내 코로나19 오미크론 변이 유행이 11주만에 감소세로 전환됐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28일 0시 기준 신규 확진자는 18만7213명을 기록했다. 지난주 49만명까지 늘었던 코로나 신규 확진자가 확연히 감소한 모양새다.

2022-03-28     김진수 기자

[뉴스엔뷰] 국내 코로나19 오미크론 변이 유행이 11주만에 감소세로 전환됐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28일 0시 기준 신규 확진자는 18만7213명을 기록했다. 지난주 49만명까지 늘었던 코로나 신규 확진자가 확연히 감소한 모양새다.

국내 코로나19 오미크론 변이 유행이 11주만에 감소세로 전환됐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에 따르면 28일 0시 기준 신규 확진자는 18만7213명을 기록했다. 지난주 49만명까지 늘었던 코로나 신규 확진자가 확연히 감소한 모양새다. 사진/ 뉴시스 제공

권덕철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1차장(보건복지부 장관)은 이날 중대본 회의 모두발언에서  "11주 만에 오미크론의 유행이 정점을 지나 서서히 감소세로 전환되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권 1차장은 "그러나 위중증자와 사망자 수의 증가는 정점의 2∼3주 후에 본격적으로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안심할 수 없는 상황"이라며 "실제 오늘 위중증 환자 수는 1천273명으로, 지난주 월요일(1천130명)보다 증가했다"고 언급했다.

이어 전세계적으로 확산 중인 오미크론 하위 변이 ‘BA.2’(스텔스 오미크론)에 대해서는 “국내 스텔스 오미크론 검출률도 지난주 기준 56.3%를 기록해 우세종이 됐다”고 전했다.

또 “증상이 있어도 검사를 기피하는 숨은 감염 사례들도 있음을 고려하면 오미크론이 확실히 감소세로 들어갔는지는 좀 더 주의 깊은 관찰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그러면서 "중증도가 높은 60대 이상 고령층의 감염이 최근 들어 지속적으로 증가해 2월 초 10%대를 밑돌았던 60대 이상 비율이 어제 20.9%를 기록했는데, 20%를 넘어선 것은 3개월 만의 일"이라며 "위중증자와 사망자도 60대 이상 고령층이 각각 84.9%, 94.9%를 기록하고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