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 문화사업 20년 "5년 내 글로벌 톱10 기업 도약하겠다"

2015-09-03     전승수 기자

 [뉴스엔뷰] CJ그룹이 5년 내에 글로벌 톱10 기업으로 도약, 한류의 산업화를 통해 국가 브랜드를 높이겠다고 밝혔다.

CJ그룹은 지난 2일 서울 중구 필동 CJ인재원에서 '미디어 세미나'를 개최하고 2020년의 문화사업 비전과 글로벌 전략을 발표했다.

   
▲ CJ그룹의 문화 사업 비전에 대해 설명하는 이채욱 CJ그룹 대표(사진=CJ그룹)

이채욱 CJ 대표는 "CJ의 문화사업 분야 매출을 2020년까지 15조6000억원으로 끌어올려 글로벌 톱(TOP) 10기업으로 도약할 것"이라면서 "문화산업이 한국경제를 먹여 살릴 차세대 핵심 성장동력이 될 수 있도록 CJ가 중추적 역할을 하겠다"고 밝혔다.

이 대표는 "CJ그룹의 문화사업은 1995년 드림웍스 3억 달러(약 3500억원) 투자에서 비롯됐다"며 "이는 당시 제일제당 연매출의 20%가 넘는 큰 금액으로 이재현 회장은 경영진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문화가 우리의 미래'라는 확고한 신념으로 투자를 강행했고, 20년간 문화의 산업화와 글로벌화를 위해 뚝심있는 투자를 지속했다"고 설명했다.

이 대표는 "식품회사였던 제일제당이 현재의 글로벌 문화창조기업으로 탈바꿈해 '제 2의 창업'을 이룩한 것은 최고경영진의 의지 없이는 불가능했다"고 덧붙였다.

CJ그룹에서 문화사업을 맡고 있는 CJ E&M, CGV, 헬로비전의 지난해 매출 3조6000원으로, CJ그룹은 2020년까지 매출을 4배 이상 늘려 글로벌 Top 10에 진입하겠다는 야심찬 목표다. 현재 세계 1위 문화기업인 컴캐스트의 2020년 매출은 87조5000억원, 2위 월트디즈니는 69조2000억원이 될 전망이다.

이를 위해 CJ그룹은 적극적인 해외진출 전략을 세우고 있다.

우선 CJ CGV는 현재 한국, 미국, 중국, 베트남, 인도네시아, 미얀마 등 6개 국가에 걸쳐 1637개를 보유한 스크린을 2020년에는 12개국 1만여 개까지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이중 전체 스크린의 약 80%와 매출의 65%를 해외에서 확보해 명실상부한 글로벌 극장 기업으로 거듭난다는 목표를 세웠다.

이 목표가 달성되면 현재 연간 1억3000만 명 수준인 CGV 관람객 동원 규모는 2020년 7억 명 수준으로 증가, 전 세계 영화 관람객의 8%를 차지하는 세계 톱 클래스 극장기업이 된다.

또한 CJ E&M은 외국인들에게 친근한 콘텐츠를 개발하고 글로벌 IP(지적재산권) 확보에 주력, 세계적인 종합 콘텐츠 기업으로 발돋움한다는 목표다.

영화사업부문의 경우 중국, 동남아 현지 합작 영화 제작 및 배급을 대폭 확대하기로 했다. 현재 중국, 베트남, 인도네시아, 태국 등 4개 국가에서 현지 합작으로 제작 및 배급되는 작품은 연간 8편 정도로 이는 영화사업 전체 매출액의 15% 가량을 차지한다.

영화사업부문은 현지 합작 영화 편수를 점차 늘려 2020년에는 글로벌 사업 매출 비중을 60%까지 끌어올릴 계획이다.

방송사업은 해외 미디어 파트너와의 합작을 통해 다양한 진출을 꾀하고, 음악 및 공연사업도 현지 및 글로벌 IP를 확대해 해외 진출을 가속화 할 계획이다.

공연부분은 영화 ‘수상한 그녀’가 중국과 베트남에서 리메이크 되고, 창작 뮤지컬 ‘김종욱 찾기’가 중국과 일본에서 인기를 끈 뒤 영화와 책으로 나온 것처럼 ‘원소스 멀티유즈(OSMU) 진출’도 확대한다.

음악부문은 한류 확산 플랫폼인 KCON과 MAMA의 개최지역과 규모도 확대하고, 국내 중소기업들의 해외 판로 개척 지원 사업도 강화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