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하나의 생활권...이동 많아 폭발적 감염 가능성 대비

김강립 보건복지부 차관 겸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1총괄조정관. ⓒ뉴시스
김강립 보건복지부 차관 겸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1총괄조정관. ⓒ뉴시스

[뉴스엔뷰] 정부가 하루 확진자 규모에 따라 수도권 병상을 공동으로 활용할 수 있는 대응체계를 가동한다.

확진자 규모에 따라 단계를 구분해 병상을 공동으로 사용해 자원과 인력 등을 효율적으로 가동하고 의료공백을 최소화하겠다는 취지다.

김강립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1총괄조정관은 9일 정부 서울청사에서 열리 코로나19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정례브리핑에서 "서울·경기·인천 3개 광역자치단체가 하나의 생활권을 이루었고, 수도권의 경우에 많은 인구가 밀집돼 있고 통근이나 통학 등 주기적으로 자주 이동하는 사람이 많아 작은 감염이 폭발적 확산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며 이같이 말했다.

김강립 조정관은 "특히 한 지자체에서 감당하기 어려운 집단감염 발생할 경우에는 행정적 경계로 인한 의료공백이 발생하지 않도록 인근 지자체의 자원을 활용하기 위해 수도권 병상 공동활동 협력체계 마련이 필요한 상황"이라고 강조했다.

정부는 하루 확진자 규모에 따라 4단계로 구분해 단계별로 수도권 병상을 공동으로 활용한다는 방침이다.

현재와 같이 하루 확진자가 100명 미만이면 1단계, 2단계에서는 각 지자체별로 자체대응 하면서 거점 전담병원과 생활치료센터를 지정·운영한다.

하루 확진자가 100명 이상 발생하는 3단계 또는 4단계로 전환될 경우에는 병상을 공동 활용하기 위해 수도권 통합환자 분류반을 설치·운영한다.

김 조정관은 "1, 2단계는 각각 하루 발생하는 확진환자 수가 50명 미만이거나 100명 미만인 경우다. 이 단계에서는 원칙적으로는 개별 시도가 각각 보유하고 있는 병상 등의 의료자원을 활용해 확진환자를 치료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다만 2단계쯤 되면 그 이후의 3, 4단계, 100명 이상의 환자가 발생하는 상황으로 가기 전이라도 이러한 이후의 단계를 준비하는 방식으로 유지된다"고 말했다.

그는 "이런 것들이 다 완비가 되면 해당 상황에 맞춰서 계획에 따라 움직이게 되는 것이다. 공동대응을 통해서 자원을 효과적으로 활용하고, 추가 환자들을 최대한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치료하겠다는 의미다. 또 자원낭비와 의료자원의 피로도를 최대한 낮추면서 치료를 할 수 있는 이러한 체계를 갖추겠다는 의미"라고 강조했다.

또 "환자 분류반은 각 지역의 중증도별 병상현황을 통합적으로 파악하고 지역별 한계 초과 시에는 다른 지역으로 환자를 신속하게 배정할 수 있도록 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수도권 내의 다른 지역의 환자를 수용하는 협력병원과 공동 생활치료센터도 지정해 공동대응체계를 마련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앞서 정부는 수도권 내 병상을 공동으로 활용하기 위해 그동안 복지부와 3개 지자체, 지자체별 전문가(의료진) 등이 모여 협력체계를 마련하기 위한 실무협의를 진행해왔다.

향후 5월 중에는 1·2단계에 해당하는 거점전담병원과 생활치료센터, 3·4단계에 해당하는 수도권 협력병원과 공동생활치료센터의 지정 계획을 수립할 예정이다. 또 구체적인 공동대응체계 구축을 위한 실무협의체는 5월11일부터 구성·운영된다.

마지막으로 그는 "해당 내용을 가지고 5월 내에 모의훈련을 3개 광역단체들과 같이 실시를 하고 이러한 상황이 발생할 경우에 대한 대비계획을 사전에 준비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 "긴급상황에서 지역별로 분산된 의료자원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감염병에 대응할 수 있도록 이런 수도권 공동체계 모델을 바탕으로 다른 지역, 6개 권역에 대해서도 권역별 공동대응체계를 마련해 나갈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저작권자 © 뉴스엔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