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우, 1300P 하락하며 2만선 내줘
트럼프 대통령 1조달러 경기부양책 효과 하루만에 마감

18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거래가 일시 중단되는 서킷 브레이커가 발동된 이후 한 트레이더가 이마를 짚고 있다. ⓒ뉴시스/AP
18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거래가 일시 중단되는 서킷 브레이커가 발동된 이후 한 트레이더가 이마를 짚고 있다. ⓒ뉴시스/AP

[뉴스엔뷰] 18일(현지시간) 뉴욕 증시가 폭락 마감했다. 서킷 브레이커도 이틀 만에 다시 발동됐다.

이날 CNBC, 마켓워치에 따르면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30산업평균 지수는 1338.46포인트(6.30%) 하락한 1만9898.92에 마감했다. 다우 지수가 2만 선을 내준 건 약 3년 만이다. 다우 지수는 한때 2000포인트 넘게 빠지기도 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 지수는 2398.10으로 131.09포인트(5.18%) 내렸다. S&P500 지수는 7% 넘게 하락해 거래가 일시 중단되는 서킷 브레이커가 발동되기도 했다.

서킷 브레이커는 지난 9일 23년 만에 발동됐으며, 열흘 사이 총 4차례 발동됐다. S&P500 지수는 직전 고점 대비 29.1% 빠졌다.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344.94포인트(4.70%) 하락한 6989.84로 장을 마쳤다.

마켓워치는 투자자들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과 관련해 쏟아지는 정부 대책을 주시하고, 해당 대책들이 경제적 타격을 줄이기에 충분한지 논의하면서 주가가 대폭 하락했다고 전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내놓은 1조달러 경기부양책의 약발이 불과 하루만에 사라진 셈이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투자자들이 현금확보를 위해 한꺼번에 나서면서 미국의 금융시스템이 요동쳤다면서, 최근 금융시장의 혼란이 '새롭고 좀더 걱정스러운 유동성 단계(a new, more troubling liquidation phase)'로 진입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일반적으로 경제위기 때에는 투자자들이 위험성이 높은 자산을 멀리하고 보다 안전한 국채를 사거나, 정말로 위기감이 들면 금을 사는데, 이번에는 투자자들이 단기 국채나 현금만을 신뢰하는 태도를 보이고 있다는 것이다. 

1개월짜리 미국 국채 금리는 이날 무려 마이너스(-)0.0033%로까지 떨어졌다. 사실상 손해이지만 단기 미국 국채에라도 돈을 묻어뒀다가 필요할 때 신속히 현금화하겠다는 투자자들이 급증하고 있음을 보여줬다.

유럽 증시도 폭락했다. 영국 FTSE 100지수는 214.32포인트(4.05%) 내린 5080.58에 거래를 마쳤다. 프랑스 CAC 40지수는 236.94포인트(5.94%) 하락한 3754.84에 장을 닫았다. 독일 DAX지수는 497.39포인트(5.56%) 밀린 8441.71을 나타냈다.

뉴욕타임스(NYT)는 한달째 하락 추세를 보여온 증시가 2017년 1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취임 이후의 상승분을 거의 반납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날 한때 다우 지수는 트럼프 대통령 취임 전 마감가인 1만9732를 밑돌기도 했다. 시장 전반을 반영하는 S&P500 지수는 아직 취임 전 수치를 약간 웃돌고 있다.

최근 트럼프 행정부의 코로나19 관련 대응이 진행 중인 가운데 시장은 연일 등락을 거듭하며 롤러코스터 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미국 정치권과 중앙은행이 코로나19발 경기 침체를 막기 위한 대책을 내놓으면 증시가 반짝 상승했다가 다시 폭락하는 흐름이다.

CNBC에 따르면 S&P500 지수는 17일까지 7거래일 연속으로 4%씩 오르내렸다. LPL파이낸셜에 따르면 6거래일 연속으로 이같은 장세가 펼쳐졌던 1929년 11월의 기록을 뛰어넘었다.

저작권자 © 뉴스엔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