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엔뷰] 시공사 등의 부도로 개발 사업이 올 스톱된 ‘헌인마을 프로젝트’가 10년째 진척이 없다. 업계에서는 지난해 헌인마을 도시개발사업 재추진을 위한 해법으로 뉴스테이(기업형임대주택) 도입이 거론된 게 전부다. 이마저도 헌인마을 사업 참여를 희망하는 시행업체가 나타나지 않아 흐지부지됐다.

서울 중구 회현동 우리은행 본점. <사진=뉴시스 제공>

재개여부도 아직까지 불투명하다. 그나마 도시개발사업 재추진의 키(Key)를 쥐고 있는 우리은행의 매각작업도 제자리 걸음이다. 실제 우리은행 등 금융회사로 구성된 대주단은 이 사업에 대한 채권 매각을 2015년부터 진행 중이나 진전이 없다. 

17일 우리은행 관계자는 본지와의 통화에서 “현재 헌인마을 도시개발사업 프로젝트파이낸싱(PF)채권 매각이 진행 중이나 후순위채 동의 문제로 지연되고 있다”고 말했다.

서울 서초구 내곡동에 위치한 헌인마을은 영세 가구공장과 무허가 판자촌을 가구당 50억 원이 넘는 고급 빌라촌으로 개발한다는 취지로 시작된 사업이다. 지난 2003년 도시개발사업 조합 결성 이후 2006년 우리강남PFV가 시행사로 설립되면서 사업이 추진됐다.

이 프로젝트는 총 8000억 원의 사업비가 예상됐다. 이 가운데 금융권 대출이 4270억 원을 차지했고, 이중 일반대출이 2170억 원이고 나머지 자산담보부기업어음(ABCP)이 2100억 원 가량이었다. 헌인마을 PF에 돈을 빌려준 대주단은 20개 채권 금융기관이고, 이 가운데 주채권은행은 우리은행이다.

2011년 이르러 헌인마을 프로젝트가 무산된 이유는 시행사가 사업비 조달을 위해 빌렸던 4270억 원의 대출 만기를 금융권이 거부했기 때문이다. 이때 대출에 대한 지급보증을 섰던 시공사인 삼부토건과 동양건설산업은 자금난에 빠지면서 기업회생절차(법정관리)를 신청했다. 이후 헌인마을 사업은 11년째 올 스톱 된 상황이다.

이와 관련, 금융업계는 문제 해결의 실마리를 찾으려면 헌인마을 PF 대주단 중 대형 은행들이 자금 지원 등에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고 조언한다. 한 금융 관계자는 “PF 대주단이 더 큰 수익을 노리고 PF 사업에 뛰어든 만큼 책임 있는 자세를 보여야 하며, 당국도 해결 노력을 독려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뉴스엔뷰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